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국적 선사 이용률 감소
  • ▲ ⓒ한진해운
    ▲ ⓒ한진해운


한진해운 파산으로 해상운임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 수출 기업들은 한진해운 사태 이후 부쩍 오른 해상운임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진해운 파산과 관련 지난해 수출실적 100만 달러 이상인 화주업체 332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진해운 파산에 따른 수출 물류환경 변화'결과, 작년 9월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수출지역 해상운임이 상승했다'고 응답한 업체가 217개사(65.4%)에 달했다.

이들 가운데 '운임이 상승했다'고 응답한 업체들은 타 선사 이용을 확대(57.6%) 하거나 수출가격을 인상(12.3%)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특별한 대응책 없다'는 업체도 51개사(23.3%)나 됐다. 

또 '선복 부족에 따른 운송 차질 문제를 겪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절반이 넘는 57.5%이고, 이들은 '납기 지연'(44.5%), '거래선 이탈'(26.2%)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국적 선사의 이용률이 감소한 반면, 외국적 선사의 이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도 눈에 뛴다. 한진해운 파산 이후 대부분의 물동량은 외국 선사들이 챙겨간 것으로 보인다. 

응답 기업의 절반이 넘는 172개사(51.8%)가 '국적선사 이용률이 감소했다'고 답했고, 이중 70개사는 '외국적 선사 이용률이 3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기업 24.4%는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운임이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으로 아시아를 손꼽았다. 

이들 기업들은 수출업체들의 국적선사 이용률 감소 원인으로 '선복 부족'(38.0%), '선박 스케줄 축소'(25.1%), '비싼 운임'(21.2%) 등을 손꼽았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우리나라 수출업계는 한진해운 사태 이후 단기적으로 해상운임 상승 및 선복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국적 선사 이용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진해운 사태 이후 운송 차질을 겪고 있는 업체도 늘어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