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와 관련해 중국의 보복 행위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내 대학들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전체 외국인 유학생 중 중국 국적 학생이 상당수 차지하는 상황에서, 자칫 유학생 유치에 난항을 겪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27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 유학생은 12만3192명으로 전년 동기 10만5193명보다 17.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국적을 보면 중국 학생이 6만9413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베트남 1만5771명, 몽골 6115명, 일본 2711명, 우즈베키스탄 2601명 등이 뒤를 이었다.
한류 열풍 등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2012~2014년 8만명대를 유지하던 외국인 유학생 규모는 2015년 9만6357명, 지난해에는 10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국내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관심을 높인 것도 한 몫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에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에 나선 것에 대학가에서는 다소 우려하는 모습으르 보이고 있다.
중국 측의 한한령(限韓令) 선포로 한국 기업들은 각종 어려움에 직면한 상태다. 한국 관광 상품에 대한 판매를 금지하면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했고 국내 증시에서는 중국계 자금 이탈, 현지 불매 운동, 까다로운 통관 절차로 국내 수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어 우려되는 것이 중국 유학생 모집이다. 국내 대학들은 그동안 중국 학생들을 겨냥한 홍보 활동에 집중했었다.
대학별로 운영하는 외국어 학교 안내 홈페이지의 경우 영어 외에 중국어 버전 사이트를 따로 선보이거나, 아예 중국 학생을 겨냥한 학과를 개설하는 곳도 있다.
이에 대학 입장에서 사드 보복으로 인해 상당 부분 차지하는 중국 학생의 발걸음이 줄어들 경우, 유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는 것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외국인 학생 중 중국 국적이 상당수 차지한다. 사드 여파가 지속된다면 신입생 모집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 다소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대학 측은 "중국인 유학생이 준다면, 사실상 외국인 학생의 등록금 수익이 줄어들게 된다. 장기적으로 사드 여파가 이어진다면 당장 올해 하반기 모집에서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중국 학생들에 대한 귀국 요구가 없어 대학들은 당장 피해는 없지만, 사드 보복이 장기화된다면 올해 2학기 진행되는 외국인 유학생 모집에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사드 보복으로 우리나라 학생들도 피해를 볼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A대학 관계자는 "교환학생으로 중국을 찾는 학생들이 상당하다. 적게는 한 학기, 길게는 2년 정도를 중국 현지 대학에서 공부하는 형태다. 만약 중국 정부가 비자 발급에 제동을 건다면 한국 학생들만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드 보복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대학들도 악재를 맞을 수 있다는 부분에서 현재 상황이 해결되기만을 바라보고 있다.
B대학 측은 "정부에서 뭔가 해결해주리라 보지만 (사드 보복이) 장기화되지 않았으면 하고 있다. 아직까지 한국 학생과 중국 유학생 간 갈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중국 외 다른 국가에서 유학생 모집을 하고 싶어도 여건이 되지 않는다. 조속한 관계 개선만이 해결책이 될 거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