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안도… 국적 다변화 발등에 불
  • ▲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급감한 가운데, 지난달 14일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중국 국적 항공사 카운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시스
    ▲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급감한 가운데, 지난달 14일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중국 국적 항공사 카운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시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국내 수출·관광업 등의 피해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우려됐던 유학생 감소 현상은 다행히 벌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재정의 상당 부분을 중국 유학생에 기대고 있는 대학가는 안도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다만 중국 유학생이 갑자기 급감할 경우를 대비해 유치 대상 국가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다.

    11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총 13만6234명(한국어연수 등 포함)이며 이중 중국 국적 학생은 7만55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6만9413명과 비교하면 중국인 유학생 수는 오히려 다소 증가한 것으로, 전체 유학생 중 절반이 넘었다.

    중국 외 유학생 국적을 살펴보면 베트남 2만1823명, 몽골 6595명, 우즈베키스탄 3942명, 일본 2971명, 미국 1800명, 인도네시아 1525명, 프랑스 1504명 순이다.

    올해 초 사드 배치와 관련해 중국이 보복 조치에 나서면서 대학들은 중국인 유학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우려했었다.

    학령인구 감소, 교육부 대학구조개혁 등으로 어려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사도 보복으로 중국인 유학생 마저 줄어든다면 재정 악화 등의 타격을 피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

    여러 우려에도 중국인 유학생의 발걸음이 여전히 이어진 부분에서 대학들은 다행스러워하고 있다.

    A대학 관계자는 "중국 학생이 찾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는데 큰 변화는 없었다. 개인적으로 유학을 선택하는 부분이기에 사드 여파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혹시나 모를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학생들의 한국행이 이어지더라도 사드 보복 등이 지속될 경우를 대비해, 다른 국가로도 시선을 옮겨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B대학 측은 "외국인 유학생 중 중국 국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많다. 대학이 등록금 수익에 의존하는 부분이 높기 때문에 유학생 유치는 중요하다. 국적이 다양하다면 아무래도 괜찮겠지만 중국인 학생에게만 의존한다면 향후 어려운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C대학 관계자는 "중국 유학생 유치에 많이 노력했는데 유럽, 북미 등의 경우 효과가 나타나기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외 아시아 국가로 눈을 돌리고 있는데 이를 통해 향후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방향을 설정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