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영구 회장 임기만료 직전 29일 최종협상 타결 시도3.6% 임금 인상·직무급제 도입 합의 도출 진통 예상
  • ▲ 하영구 회장을 비롯한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오른쪽)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왼쪽)이 지난 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대표자 상견례 및 제1차 산별 중앙교섭을 개최했다. ⓒ 연합뉴스
    ▲ 하영구 회장을 비롯한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오른쪽)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왼쪽)이 지난 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대표자 상견례 및 제1차 산별 중앙교섭을 개최했다. ⓒ 연합뉴스

금융권 노사 산별중앙교섭 최종 협상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사용자협의회 대표인 하영구 회장 임기 만료가 임박한 가운데 노사합의에 성공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희외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오는 29일 제3차 산별 중앙교섭을 개최한다.

지난 1일과 16일 각각 1·2차 대표단 교섭을 진행한지 보름 만에 금융노사 대표단이 한자리에 모이는 셈이다.

금융노사 양측 모두 하영구 회장 임기가 오는 30일 끝나는 점을 감안해 임기 만료 직전일인 29일 최종 타결 시도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두고 노사갈등으로 산별교섭을 진행하지 못했는데, 해결과제가 산적해있다보니 최대한 빠르게 합의를 이끌어내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금융노조는 앞서 제시했던 일반직원 임금 인상률을 4.7%에서 3.6%로 소폭 낮추고 임금 인상합의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사측 역시 저임금직군 임금 인상 필요성에 공감하는 등 현재로서는 합의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모양새다.

다만,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는 29일 최종 타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하영구 회장을 비롯한 사용자협의회가 현재 직무급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데 노조는 이를 완강히 거부하고 있어서다.

현 정부가 직무급제 도입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니 사측도 정부 방침에 발맞춰 새 제도를 은행권에 적용해야한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직무급제란 직무별 전문성이나 난이도, 업무 성격에 따라 임금을 차등 적용하는 인사시스템이다. 

하영구 회장을 비롯한 사측은 은행 직무를 세세하게 구분해 임금체계를 재산정하고 이를 적용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지만, 노조 측은 합의를 거부하는 상황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약 2년동안 성과연봉제, 즉 임금체계 개편 여부를 두고 심각한 노사갈등이 빚어졌는데 사측이 똑같은 내용을 다시 협상 테이블에 올리고 있다"며 "직무급제 관련 내용은 논의조차 할 수 없다고 못 박은 상태"라고 강하게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주장하고 있는 직무급제의 경우,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금 차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라며 “사측은 현재 정규직 안에서 직무급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성과연봉제와 결국 똑같은 내용”이라고 비판했다.

실제 은행권 담당자들도 직무급제 개편에 있어 우려를 표하기는 마찬가지다. 

직무급제 도입을 위해서는 직무 분배나 직무 가치 재평가 등 직무와 임금테이블 등을 모두 손봐야하는데, 노동가치를 재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모호할뿐더러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성과연봉제로 오랜 기간 파행을 맞은 금융권 노사가 어렵사리 산별교섭 복원까지는 성공했지만 뚜렷한 입장차이로 노사합의 성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사용자협의회를 이끌고 있는 하영구 회장의 임기 만료가 얼마 남지 않다보니 금융노사 양측 다 긍정적인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다만, 각자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어 29일 산별교섭 타결 가능성을 확신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