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대우가 자기자본 8조원 충족을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
대우증권 인수 이후 지속됐던 금융당국의 잇따른 견제를 덩치로 극복하겠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대우는 우선주 1억3084만주를 유상증자해 7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현재 7조3000억원대인 자기자본을 내년 1분기 8조원까지 늘리겠다는 전략으로,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면 2위권 증권사들과의 자기자본 격차가 4조원 가까이 벌어진다.
미래에셋과 박현주 회장은 일찌감치 미래에셋대우를 2020년 까지 자기자본 10조원 이상의 대형사로 키우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 사업목표였고, 지난 2015년 대우증권 인수를 위해 1조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한차례 단행하며 수급 등에서 상당기간 부담을 경험한 바 있다.
이번 유상증자 역시 주주가치 희석과 ROE(자기자본이익률) 하락의 위험을 감수하고 진행하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금융당국의 미래에셋대우에 대한 잇따른 제재에 따른 반작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미래에셋대우는 대우증권 인수로 갑작스럽게 몸집을 불린 이후부터 당국의 지속적인 견제를 받아왔다.
우선 지난해 현대증권 추가 인수를 통해 단숨에 자기자본 10조원 돌파를 추진하다 당국의 제동에 꿈을 접은 전례가 있다.
지난 2015년 말 증권가 M&A 매물로 나왔던 KDB대우증권 인수전에서 2조4000억원대의 파격적인 금액을 써내며 통합출범한 미래에셋대우는 단숨에 증권업계 1위로 치고 올라왔다.
미래에셋대우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았고, 당시 또다른 매물이었던 현대증권 인수를 위해 투자심사부서를 비롯한 관련부서는 곧바로 인수 검토에 착수했다.
자기자본 3조3000억원 수준이었던 현대증권 인수에 성공할 경우 미래에셋대우는 자기자본 10조원을 무난히 돌파하며 국내는 물론 아시아 대형 증권사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금융당국발 변수가 발생했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당시 현대증권의 인수를 추진했지만 지난해 3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현대증권 인수작업 추진을 중단할 것을 요구받은 이후 투자심사부서에서 인수 계획을 접었다"고 말했다.
이후에도 금융당국은 미래에셋대우가 준비해온 초대형IB의 핵심 사업인 발행어음 인가를 수개월째 미뤄왔다.
초대형IB 선정과 인가 절차는 당초 지난 4월에 예정됐으나 이후 10월로 한 차례 연기됐고, 다시 11월로 미뤄졌다가 결국 한국투자증권만 선정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업계의 갈증과 의문이 이어지고 있다.
당국은 자기자본 요건 외에 대주주 적격성과 건전성, 다른 금융사와의 형평성을 들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정거래위원회도 미래에셋대우를 조준하고 있다.
현재 공정위는 지배구조에 대한 문제와 와이케이디디벨롭먼트를 중심으로 한 일감 몰아주기, 지배구조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을 제기하고 있고, 국감에서도 여야 의원을 가리지 않고 불완전판매, 자사주교환에 대한 이슈를 제기하며 업계 내 압도적 1위 사업자에 대한 견제가 가시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증권업계가 추구하는 '모험자본 공급'과 당국이 추구하는 '금융 소비자 보호'와 '모범'에 대한 견해차이가 여전히 커 초대형IB에 대한 입장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미래에셋대우가 당국에 미운털이 박힌 면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국 초대형 IB의 핵심 업무인 발행어음 사업이 막히자 전격적으로 증자를 결의하고, 자기자본 8조원을 채워 금융당국의 인가를 받지 않고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으로 직행하겠다는 미래에셋대우의 전략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IMA는 고객에게 원금을 보장하면서 은행 금리 이상의 수익을 지급할 수 있는 통합계좌로 발행어음 사업과 달리 금융당국의 별도 인가 없이 관련 업무에 착수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다만 이 부분도 금융당국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미래에셋대우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자기자본 8조원을 넘기면 IMA 업무를 시작할 수 있지만 발행어음 업무를 먼저 시작하고, 단계적으로 IMA 사업에 진출하도록 하는 것이 초대형 IB 사업의 취지"라며 "미래에셋대우의 의도대로 IMA 사업을 바로 시작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미래에셋대우 측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한 자기자본 확충이 IMA 사업만을 보고 진행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국내 증권사들의 자기자본이 해외IB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글로벌 IB 전략을 추진하면서 기업 M&A, 해외 사업 확장으로 대외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우선주 7000억원 증자는 확정배당형 신주를 발행하는 것으로 주주가치 희석을 최소화했으며 글로벌 M&A, 해외 비즈니스, 모험자본 등에 투자해 ROE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