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자율구조조정 2만 안팎… 지방대 등 무더기 미달 우려
-
-
-
-
▲ 2021학년도 대입 정원이 현 수준을 유지할 경우 신입생 모집인원이 고교 졸업생 수보다 많아져 지방대 등은 미달 사태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연합뉴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입학 자원이 줄어들면서, 올해 고교에 진학하는 예비 수험생이 입시를 치르는 시점에는 대입 정원이 오히려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전체 고교 졸업생이 모두 대학에 입학하더라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지방 거점 국립대와 달리 지방대·전문대 등은 관심 저하로 미달 사태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24일 종로학원하늘교육이 '초중고 학년별 학생수'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학생수를 바탕으로 추정한 올해 고1 학생은 약 45만명으로, 고3(57만여명)보다 약 12만명 적을 것으로 예측됐다.
2019학년도 대입 정원은 일반대 34만8천여명, 전문대 20만6천여명 등 55만여명이다.
교육부가 2주기 대학구조개혁(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를 통해 대입 정원 2만명을 줄이더라도 예비 고1이 치르는 2021학년도 대입의 신입생 선발 규모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대학 폐교가 이뤄지지 않는 이상 예비 고1이 졸업하는 시점에는 대입 정원이 많아 사실상 전원 대학 진학이 가능해진 셈이다.
고교 졸업자 모두 대학 입학이 가능하더라도 선호도가 높은 서울 등 수도권 소재 사립대·지방 거점 국립대 등은 정원을 채울 수 있지만, 정작 지방대·전문대 등은 재수 등 N수생이 합류하더라도 외면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고교 졸업생 수가 대입 정원보다 적어, 정원 미달이 될 수 있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니깐 대학 입학이 수월해지고, 경쟁도 완화될 수 있지만 서울 소재 중상위권 대학, 지방 거점 국립대의 경우 인기가 있기에 경쟁률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방 소재 중소 사립대, 전문대는 실질적 미달이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전체 인구 중 절반이 수도권에 있다. 전국 대학의 절반은 지방 소재다. 이로 인해 지방대 등이 미달을 겪을 것"이라며 "현재 재수생은 12만~13만명으로 보는데 이들은 대학 진학을 못하는 것이 아닌, 가고자 하는 대학이 있기에 재도전에 나서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1999년 61만4천여명었던 출생아 수는 2009년생은 44만여명으로 줄었고, 학령인구 감소는 대학에도 영향이 미치는 상황이다.
A대학 관계자는 "서울 소재 대학이더라도 적은 규모의 학교는 그만큼 학생 모집에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주요대학들은 경쟁률이 낮아지더라도 수요는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B대학 측은 "선호도가 높은 대학과 달리 지방대, 전문대 등은 살아남기 위해 학생 모집에 더욱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할 거 같다"고 말했다.
대입 정원이 입학 자원을 추월하는 상황에서 대학가 어려움은 본격화되고, 관심이 적은 대학들은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이치우 비상교육 입시평가실장은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경쟁력이 줄어든다면 수험생은 어느 학교든 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편중 지원으로 비인기 대학들은 문을 닫는 상황을 맞이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어 "인기 대학에 대한 지원 현상은 뚜렷해지고, 일정 규모 학생이 있어야 운영될 학교는 정원을 채우지 못해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2021학년도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