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 음파 데이터 전환 '수중통신 기술' 확보… '지진-해일-적조' 예측공공안전 솔루션도 선봬…관제드론, '범위-경로' 추적→바디캠, 사고자 위치 전송
  • ▲ SKT 공공안전 솔루션 시연 현장ⓒ전상현 기자
    ▲ SKT 공공안전 솔루션 시연 현장ⓒ전상현 기자

     

    최근 건물 화재 사건, 지진 등이 잇따라 발생하며, 재난 상황서 안정적 통신망 제공이 가능한 SK텔레콤의 '망 안전성'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다.

    기술도 결국 사람을 위해 존재하고, 고객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할 때 그 가치가 올라가는 만큼 다가오는 5G 시대, SK텔레콤은 고객에게 진정 도움을 주는 망 안전성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 환경을 고려해 최근 수중 통신 기술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수중 통신 기술은 바다의 수온과 염도, 조류속도에 따라 어획량과 어류를 파악할 수 있어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에게 큰 도움이 됨은 물론, 최근에 많이 발생하고 있는 지진, 해일, 적조 등을 바닷속에서 미리 감지,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분단국가라는 우리의 현실을 감안할 때, 적 잠수함을 식별하는 등 귀중한 국방 자산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수중 통신 기술은 바닷속에서 보낸 음파를 데이터로 전환해 문자, 사진 등의 다양한 정보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즉, 송신 기지국에서 소리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면 수신 기지국에서 이를 변환해 보여주는 것으로 돌고래가 음파로 의사소통을 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SK텔레콤은 호서대와 함께 '기지국 기반 수중 통신 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인천 남항 서쪽 10km 해상, 수심 약 25m 깊이, 송수신 거리 약 800m 환경에서 LTE 방식을 활용해 수중 통신 기술 시험에 성공하기도 했다.

    인천 앞바다는 바닷물의 혼탁도가 심하고 수심이 얕아 수중 통신에 매우 부적합한 환경인데도 불구, 문자와 사진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함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향후 수중망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소방공무원들의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를 돕기 위해 지난달 강원도 춘천시에서 강원소방본부와 공공안전 솔루션 업무협약을 맺었다.

    본 협약을 통해 SK텔레콤은 몸에 장착하는 특수단말기(이하 바디캠) 230대, 관제드론 4대, 실시간 영상 관제 시스템 'T 라이브 캐스터'를 결합한 '공공 안전 솔루션'을 강원소방본부에게 제공했다.

    예컨데 산불이 났다는 가정하에, 신고가 접수되면 소방대원들은 소방 헬기 출동 전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관제드론을 급파한다.

    관제 드론은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열화상 카메라 탑재 드론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표현하는 카메라를 장착해 화재 범위와 경로를 추적한다. 줌 카메라가 달린 드론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드론의 데이터로 조난자 위치와 산불 범위를 확인한 수색대원들은 몸에 특수단말기(바디캠)를 장착, 재난 현장을 바디캠으로 촬영해 실시간 상황을 전송한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망 안전성 기술들을 통해 재난 대응 활동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SK텔레콤이 보유한 ICT 인프라를 공유해 고객과 사회에 더 나은 가치를 제공코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