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단기차입금 1.2조→2.2조원…9951억원↑ SK에코플랜트 유동비율 고작 79%…150%이상 7곳 불과 '부채율 1위' 금호건설 640% 돈맥경화…재무지표 경고등
-
시공능력평가 상위 20개 건설사들조차 주택경기 침체와 높아진 원가율 등으로 유동성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단기차입금 규모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소·중견사들이 줄도산한 데 이어 최근 시평 58위인 신동아건설마저 법정관리 신청을 하면서 운영자금 확보에 불이 붙은 듯한 모습이다.10일 분기보고서 분석결과 지난해 3분기 기준 상위 20개 건설사 단기차입금 규모는 10조2009억원으로 1년새 1조6737억원 급등했다. 이는 타부문 실적이 함께 잡히는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한화 건설부문, 분기보고서를 공시하지 않는 호반건설·중흥토건·제일건설을 제외한 건설사 통계수치다.단기차입금은 이자율이 높고 변제기한이 1년이내로 차입규모가 커질수록 재무구조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증가폭은 두산에너빌리티, SK에코플랜트,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순으로 컸다.두산에너빌리티는 1조2379억원에서 2조2330억원으로 9951억원 늘었고 SK에코플랜트는 1조3318억원에서 2조869억원으로 7551억원, 대우건설은 5578억원에서 8236억원으로 2458억원 증가했다.또한 해당 건설사 가운데 안정적 재무구조 기준인 유동비율 150%이상을 충족시킨 곳은 △현대건설 169% △대우건설 185% △포스코이앤씨 160% △HDC현대산업개발 159% △DL건설 180% △계룡건설산업 150% △서희건설 183% 7곳뿐이었다.유동비율은 단기 현금동원력을 나타내는 재무건전성 지표로 150%이상일 경우 재무구조가 안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대로 100%이하는 유동성 리스크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분석대상 건설사중 SK에코플랜트가 79%, 금호건설이 94%를 기록해 재무건정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외 GS건설(104%)과 롯데건설(110%) 등은 안전권 기준을 간신히 넘겼다.부채비율 경우 6곳이 재무건전성 위험기준인 200%를 웃도는 것으로 확인됐다.가장 높은 부채비율을 기록한 금호건설이 640%을 기록했고 △코오롱글로벌 559% △SK에코플랜트 251% △GS건설 238% △계룡건설산업 △롯데건설 217% 등이 뒤를 이었다.
-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건설사들은 계열사 및 토지 매각 등을 통해 현금성 자산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10건 매각이 이뤄져 2023년 2건, 2022년 6건에 비해 현저히 증가했다.먼저 대우건설은 지난달 유동선 개선을 목적으로 '동탄2대우코크렙뉴스테이기업형임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180만주를 1800억원에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했다.해당기업은 대우건설이 2015년 설립한 시행사로 기업형 뉴스테이인 '동탄행복마을푸르지오' 단지를 분양하기 위해 설립됐다.DL그룹 지주사인 DL은 지난해 11월 '디타워 돈의문'을 매각했다. 매각금액은 8953억원으로 전용면적 3.3㎡당 3400만원을 넘어선 수준이다. 해당 빌딩은 마스턴투자운용이 2020년 펀드를 조성해 매입한 펀드로 DL은 이 펀드에 출자해 주요 투자자로 매입에 참여했다.GS건설은 자회사인 GS엘리베이터에 이어 GS이니마까지 매각을 추진하며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작년 10월 GS엘리베이터 주식 412만5000주를 66억원에 매각하는 매매계약이 종결됐다고 공시했다. GS엘리베이터는 2020년 7월17일 설립된 GS건설 100% 자회사다.일각에선 이같은 현금성 자산 확보 노력이 장기적으로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최한승 한국기업평가 기업2실 실장은 "건설사들의 선제적 유동성 확보는 부채비율이나 차입금의존도 등 재무지표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면서도 "다만 PF 우발채무 리스크가 현실화돼 건설사 재정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재무부담 확대를 감수하더라도 유동성을 최대한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