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펀드 출시 후 공모가 밴드 넘어선 종목 17개일부 종목 밸류에이션 과다로 수익률 저조 우려
-
- ▲ ⓒ 연합뉴스
올 3분기 IPO 시장은 지난해에 비해 소폭 위축됐으나 당초 우려와 달리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스닥 벤처펀드의 흥행으로 중소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28일 IR큐더스에 따르면 올 3분기까지 유가증권·코스닥 시장 누적 IPO 건수는 41개사에 달했다.지난해 동기 44개사에 비해서는 다소 줄어든 수치지만 올해 미중 무역갈등, 신흥시장 위기 등으로 증시 불확실성이 커진 분위기를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선방한 셈이다.이 중 3분기에만 총 20곳의 기업이 증시에 이름을 올렸다.3분기 중 코스피 상장한 기업은 롯데정보통신, 티웨이항공, 신한알파리츠, 우진아이엔에스 등 네 곳이며 나머지 16곳은 코스닥 기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코스피 상장이 한 건도 없었던 데 비하면 대조적이다.지난해와 같이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대어급’ 상장사는 없었지만 중소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진 것도 올해 IPO 시장의 특징이다.이는 지난 4월 출범한 ‘코스닥 벤처펀드’의 흥행이 주효했다.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닥 벤처펀드는 4월 5일 출범한 후 약 5개월여가 지난 8월말 기준 공‧사모를 합해 2조9628억원이 설정됐다. 현재 3조원 돌파가 예상되고 있다.실제 올해 시초가가 공모가 밴드를 넘어서거나 경쟁률 1000대를 기록한 ‘흥행주’ 대부분이 대어급 종목이 아닌 코스닥 중소형사였다.실제 올 3분기까지 상장한 기업 41곳 중 17곳의 시초가가 공모가 밴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동기 공모가 밴드를 넘어선 종목이 5개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크게 늘었다.특히 이 같은 흥행 사례는 벤처펀드가 출범한 4월 이후 13곳이나 나오면서 공모주에 대해 높아진 관심을 적극 반영했다.경쟁률도 크게 올랐다. 올 4월 이후 1000: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한 종목만 제노레이, 한국유니온제약, 에스에스알, 오파스넷 등 네 곳에 달한다.한편, 증권가에서는 벤처펀드로 인한 공모주 붐에 대해 ‘과열’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높은 공모가를 기록했거나 지나치게 흥행했던 종목 중 다수가 막상 수익률 면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장기적인 수익률을 고려해 신중히 종목을 선정, 투자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김동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4월 이후 상장한 종목들은 미중 무역전쟁 들 대외 불확실성 영향도 있으나 코스닥 벤처펀드로 인한 초과수요로 인한 공모가 상승과 높은 초기 수익률이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작용, 이후에는 수익률이 오랫동안 부진했다”며 “공모가가 희망가 밴드를 상회했던 종목들은 오히려 수익률이 확연히 부진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