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이물 혼입 가능성 낮다" 결론이미 신뢰 잃은 업체 '막막' vs 원인 모르는 소비자 '답답'
  • ▲ 남양유업 홈페이지에 게시된 사과문.
    ▲ 남양유업 홈페이지에 게시된 사과문.

    식품업계의 오랜 골칫덩어리가 있다. 바로 이물질 논란이다. 소비자가 직접 먹는 제품을 판매하다보니 이물질 논란에 업체도, 소비자도 민감할수밖에 없다. 기술이 발달한만큼 제조설비도 좋아졌건만 이물질 논란은 여전히 끊이지 않는다.

    이물질 논란의 시작은 대부분 소비자의 '주장'에서 시작된다. 제품을 먹던 소비자가 이물질을 발견, 해당 제조업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SNS와 인터넷의 발달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사진이나 영상 등이 게시되면서 논란이 커지는 경우도 많다.

    일단 소비자의 주장이 제기되면, 해당 업체는 물론이고 업계 전체가 술렁이게 된다. 문제가 발생한 제조업체는 문제 원인 조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 식품업체로서 이물질 논란은 소비자 신뢰와 자존심이 걸린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불거진 남양유업의 분유 이물질 주장 사태 역시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현재로서는 소비자의 주장과 남양유업이 제조시설에서 이물질 혼입이 불가하다며, 제조공정 공개는 물론 어떠한 조사도 다 받겠다고 적극적으로 맞선 상황이다. 어느 한쪽의 이야기가 맞다고 하기에 아직 단서가 너무나도 부족하다.

    문제는 이렇게 업체와 소비자가 맞선 결과가 단 한번도 시원했던 적이 없다는 점이다.

    한 국내 식품업체 관계자는 "대부분의 이물질 논란 조사 결과는 제조 과정에서 이물질 혼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라며 "이같은 답변을 들으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럼 어디서 어떻게 들어갔다는 것인지 알 수 없게 되는 것이고, 제조업체는 혐의에서 일단은 벗어나지만 이미지 하락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차라리 어떤 과정에서 어떻게 혼입됐는지가 명확하게 나온다면, 잘잘못을 가려 책임을 물을 대상이 생기지만 제조과정에서 이물 혼입이 불가능하다는 결과만으로는 어떠한 것도 해결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식품이 제조돼 소비자의 입안으로 들어가기까지는 너무나도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공장에서 완벽히 이물을 차단했다고 해도, 길고 긴 유통 과정에서 이물 혼입이 불가능하다고는 단정할 수 없다. 그렇게되면, 소비자들은 어디에 책임을 물어야 하는지 답답할 노릇이다.

    소비자들은 제조업체의 로고를 믿고 제품을 구매해 먹었을 뿐이다. 물론 일부 나쁜 마음을 먹은 소비자가 이른바 '자작 이물질 논란'을 만들어냈을 가능성 역시 '제로'는 아니다. 이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제조업체에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 것도 경계할 일이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일단 이물이 나온 상황에서 자신이 블랙컨슈머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하기는 어렵다. 소비자에게 증거는 이물이 나온 제품뿐이고, 그 이상의 증거를 대라고 하는 것은 그야말로 더 큰 문제다.

    비단 남양유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식품기업이라면 그 사안이 크든 작든 한번씩은 이물 논란에 휩싸였던 적이 있다. 이 때문에 공장은 날이 갈 수록 엄격한 관리 아래 가동되고, 이물 혼입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식품업체들이 앞다퉈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이물질 논란은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발생하고 있다.

    이물질 논란을 완전히 불식시키는 것은 아마 불가능할 것이다. 다만 소비자들이 건강한 문제제기를 통해 기업 감시의 역할을 수행하고 업체 입장에서는 논란 발생 방지에 힘쓰되, 논란이 불거지면 소비자 궁금증 해소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유통업체들은 유통과정상의 문제점이 없었는지 점검하고, 또 확인해야 한다.

    다만 제조 과정에서 이물 혼입이 불가능하다는 조사 결과는 절대 면죄부가 아니다. 해썹(HACCP) 인증 역시 이물 논란에서 자유롭다는 조건이 될 수 없다. 정부의 조금 더 강력한 식품 안전 관리 체계가 필요한 이유다.

    제조공정에는 문제가 없다는데도, 소비자 신뢰를 잃은 업체들이 느낄 답답함 역시 모르는 바 아니다. 소비자 역시 그 답변을 들은 후 답답하다. 식품 이물질 논란이 가져올 답답함은 이런 종류다. 누구에게도 시원한 결과를 주지 않는다. 다만 우리 모두는 이물질 논란이 줄어들길 기대한다. 믿고 먹을 수 있는 사회는 그 기대에서부터 출발하는 것 아닐까. 식품 안전의 확보는 영원히 100%가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