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부터 M&A 인수금융까지 성과물인재 육성 통한 전문성 강화, 외부영입도 적극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미래 먹거리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는 CIB 시장에서 차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KB금융지주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CIB 영업의 경우 공산품처럼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투입해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랜 기간 누적된 네트워킹과 역량, 영업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내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KB금융지주는 올해 조직부터 시작해 인력, 제도 및 프로세스를 ‘One-Firm형 체계’로 재편했고 최근 그 결과물이 하나씩 나타나고 있다.

    KB금융은 상반기 7180억원에 이르는 ‘KKR과 LS그룹의 LS오토모티브 및 LS엠트론 동박/박막 사업부 영업양수도 거래’를 성공적으로 주선했다.

    M&A 인수금융의 모범 사례로 꼽히는 이 거래는 KB금융의 신디케이션 역량을 결합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KB금융이 추진한 여의도 SK증권 빌딩 매입 건도 부동산 분야는 역시 ‘KB’란 타이틀을 주기 충분했다.

    은행과 손해보험, 자산운용 등 KB금융 각 계열사 간 역할 분담을 통해 신축 우량 오피스를 매입하고 그 과정에서 투자 및 대출을 통해 안정적 장기 수입원을 확보했다.

    SK증권 건물 매입 건은 총 매매대금 2951억원 중 KB금융 계열사가 에쿼티 투자 1249억원, 대출 800억원을 담당했다.

    동자동 KDB생명타워 매입 건 역시 블라인드펀드를 통한 계열사 간 공동투자 모범 사례로 꼽힌다.

    총 매매대금 4223억원 중 KB금융 계열사가 에쿼티 550억원과 대출 900억원을 담당하고 다른 금융기관의 투자도 이끌어 냈다.

    CIB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KB금융만의 독특한 인재 육성 및 관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올해 초 그룹 CIB 전략을 총괄하고 있는 오보열 대표는 지난해까지 국민은행 심사본부장을 담당한 ‘심사통’이다.

    영업과는 대척점에서 리스크를 측정하고 영업을 견제하는 전문가를 배치하면서 심사와 영업조직 간 간극을 좁힌 것이다.

    오보열 대표뿐만 아니라 부서장급·실무자급을 포함해 영업에서 심사로, 심사에서 영업으로 자리를 옮긴 인력 수는 상당하다는 게 KB금융 관계자의 말이다.

    기능 간 융합뿐 아니라 계열사를 넘나드는 교차인사 활성화에도 KB금융은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CIB 영업인력 상당수는 은행뿐만 아니라 증권, 자산운용, 보험사 등에서 넘어온 인력이다. 지난 수년간 교차인사를 추진한 결과물이다.

    여기에 더해 시장에서 능력이 검증된 외부인사 영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 초 KB인베스트먼트 수장으로 김종필 전 한국투자파트너스 부사장을 선임했고 은행과 증권 등 각 계열사별로 참신한 감각과 능력을 갖춘 외부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KB금융은 장기적으로 CIB 먹거리를 해외에서 찾겠다는 목표다.

    KB금융은 홍콩과 뉴욕, 런던 등 주요 거점을 기반으로 해외 IB 사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뉴욕 IB 유닛을 신설해 선진국 시장 본격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