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교협 "사회적 편견 우려스럽다"
  • ▲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기숙시설 '장학숙'이 전문대생 입사 제한, 성적 기준 선발 방식 등으로 사회적 편견을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뉴시스
    ▲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기숙시설 '장학숙'이 전문대생 입사 제한, 성적 기준 선발 방식 등으로 사회적 편견을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뉴시스

    지방자치단체가 서울 등 대도시 대학에 재학 중인 지역 학생들의 주거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장학숙'이 전문대생에 대해선 차별적 대우가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입사 기준을 일반대 재학생으로 한정하거나, 성적 위주로 선발을 진행하면서 사회적 편견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10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대도시 소재 지자체 장학숙 21곳의 입사생 선발기준을 조사한 결과, 2곳은 전문대생의 입사를 제한했고 선발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 요소로 7곳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또는 내신 등 성적 반영 비중을 높게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문대생의 입사를 금지한 4곳 중 올해 2곳이 문호를 넓혔고, 3곳은 수능 등 성적 비중을 줄이면서 가정소득 등 생활정도 점수를 높였다. 하지만 절반가량은 여전히 높은 장벽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문대교협은 지적했다.

    지자체가 운영하는 장학숙은 장학관, 향토학사, 생활관 등으로도 불리는 기숙시설로 거주 지역 소재 대학이 아닌 학교로 진학한 학생의 주거 부담을 완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입사 여부를 평가하는 성적 비중이 전문대생에게 높은 기준으로 반영되는 등 차별적 요소가 있다며 전문대교협은 2017년부터 지자체, 국가인권위원회 등에 개선을 촉구했다.

    대학알리미 '기숙사 수용 현황'(2018학년도 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문대교협 회원교 136개교의 기숙사 수용률은 평균 22.1%로, 전국 230개 일반대(지역캠퍼스 등 포함) 평균 33.8%보다 낮은 수준이다.

    지난 2월 부동산 O2O 플랫폼 다방이 조사한 서울 주요 대학가 원룸 월세는 평균 54만원으로, 지역에 따라 매월 40만~70만원을 주거비로 부담해야 했다.

    지자체 장학숙의 경우 기숙사 이용에 따른 부담금이 낮은 수준으로 서울 소재 A장학관 등은 월 20만원, B장학관은 15만원을 책정했다. 입사생 부담금에는 식비도 포함되어 있어 자취보다 적은 비용을 지출할 수 있다.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한 지자체기 기숙시설을 운영하고 있지만, 전문대생의 입사 자격을 제한하거나 성적 기준을 높게 설정한 것은 사회적 편견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전문대교협은 우려할 정도다.

    전문대교협 측은 취업, 소질 등으로 전문대를 선택하는 학생에게 단순히 성적 등의 기준으로 입사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자체가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부분을 분명히 하고 있다.

    황보은 전문대교협 사무총장은 "전문대생이 직업교육을 선택하고,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도록 지자체 장학숙의 입사 제한 폐지, 선발 다양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