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공매도 금지 조치에도 증시 폭락장세가 이어지자 결국 펀드를 조성해 증시에 개입하고 방어하는 방안을 택했다.
금융지주사를 비롯한 금융 유관기관 자금을 투입하는 특단의 조치를 통해 시장을 끌어 올린다는 구상이지만 충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6개월간 공매도 전면금지 조치 이후에도 시장 급락세가 지속되자 금융당국은 후속조치로 증시안정펀드와 채권시장안정펀드 조성 카드를 꺼내 들었다.
채권시장안정펀드의 규모는 10조원 이상의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증시부양을 위해 뽑은 칼은 증시안정펀드로, 금융 유관기관이 자금을 출자하고 필요시 일정 금액을 집행해 증시를 안정시키는 데 활용된다.
증권시장안전펀드의 조성 의도는 이미 증권업계 내에서 파악됐다.
금융지주를 비롯한 증권 유관기관에서도 규모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시장의 패닉을 어느 정도 막아내기 위해서는 규모가 관건인데 막대한 자금력을 갖운 펀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결국 금융지주사를 비롯한 대형 금융·증권사들의 대규모 자금 투입이 불가피하다.
업계에서는 결국 DLF·라임운용 사태 등으로 당국이 코로나19 패닉장세가 끝난 이후 본격적으로 금융사들에 대한 칼날을 겨눌 준비 중인 만큼 당국이 원하는 금액을 출자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펀드 조성 이후 효과에 대해서도 확신하기는 이르다.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펀드의 관건은 조성금액이 일정 수준 이상이 돼야 효과가 있는데 이미 외국인이 이달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만 9조원 넘게 순매도했다.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지난 1월 20일부터 계산하면 이날까지 외국인의 코스피 누적 순매도액은 14조원에 이른다.
결국 이번 대책 역시 국면을 전환할 수 있는 대책으로는 미비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당국은 증시와 경제의 추가 하락은 돌이킬 수 없는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는 점에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매번 한발 늦은 조치를 단행했다.
비상대책이 적기에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뒷북 처방에 그쳐왔다는 점이다.
3개월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요건 완화→공매도 금지기간 10거래일→6개월 상장주식 공매도 금지 및 상장사 1일 자기주식 매수수량 한도확대 조치→신용융자담보비율유지의무 면제 등 긴급처방이 잇따라 나왔지만 시장 급락세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펀드조성에 대해서도 당국은 불과 이틀전까지만 해도 시기에 대해 정해진 바 없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결국 19일 코스피지수가 1500선이 붕괴되고서야 계획안을 꺼냈다.
특히 자금 조성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참여주체 역시 나오지 않고 있어 업계에서는 단기간에 자금을 모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고 있다.
현재 당국은 (컨틴전시 플랜)에 따른 시장안정 추가 조치로 한시적 증시 운영시간 단축과 주가 등락폭 단축, 더 나아가 주식 거래 일시 정지와 임시 휴장 등 고강도 카드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는 파격적인 조치라면 선제적으로 취하는 것이 흔들리는 시장을 쉬어갈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위기에서는 국면을 압도하면서도 정교한 정책이 나와야 하지만 지속적인 뒷북정책이 아쉽다"며 "투자심리 개선에 대한 접근보다는 실질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안정펀드조성의 규모도 과제이지만 당국의 금융권을 상대로 한 손목비틀기식 자금확보도 지양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