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 손실만 1조원이 넘는 라임자산운용 펀드 의혹에 대해 금융감독원이 이르면 내달 초 조사에 착수한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당초 계획(3월 초)보다 한달가량 지연된 수사지만 사태의 핵심 인물인 부사장(투자총괄)과 전주(배후)는 물론 횡령 공범 의혹을 받고 있는 인물까지 모두 도피 중인 상황에서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의 라임 사태 합동 현장조사단은 내달 6일 경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다.
내달 6일은 코로나19로 미뤄진 개학 예정일로, 금감원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현장조사 역시 연기해왔다.
이에 따라 만약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돼 개학일이 미뤄질 경우 금감원의 현장조사 역시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
현장조사가 시작될 경우 사태의 핵심인 라임자산운용과 신한금융투자를 비롯해 판매사인 은행과 증권사들의 조사가 차례로 이어질 예정이다.
반면 업계는 사태의 핵심인물이 모두 배제된 조사가 제대로 진정성 있게 이뤄질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고 있다.
현재 라임자산운용의 업무 총괄을 담당했던 이종필 부사장이 일찌감치 해외로 도피한데 이어 라임운용의 배후로 거론되고 있는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도 도피중이다.
또 라임운용의 자금을 투자받아 부실채권에 투자해 돌려막기 의혹을 받고 있는 인물도 도피 중이다.
여기에 라임 투자금을 집중 유치했던 전 대신증권 반포WM센터장의 경우 타사 이직 이후 현재는 이직한 회사도 사직한 상태다.
라임사태 당시 재직했던 신한금융투자 사장들도 모두 회사를 떠났다.
금융투자업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라임운용사태에 대해 초미의 관심을 두고 지켜보는 이유는 사태 핵심에 윗선이 개입돼 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역시 라임의 이상징후를 파악한 시점이 지난해 6월인 반면 8월 사모펀드 출자승인에 이어 뒤늦은 중간조사 발표 시점, 금감원 출신 전 청와대 행정관 연루설 등으로 의혹을 사고 있다.
그러나 실마리를 풀어줄 수 있는 인물들이 모두 도피 중이거나 금융권을 떠나 있는 상황에서 연루 의혹을 받는 금감원이 뒤늦게 조사에 나선다는 점에서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 역시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라임운용의 펀드 실사보고서 공개 요구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공인회계사인 김경율 전 참여연대 집행위원장은 최근 자신의 SNS를 통해 일부 언론 보도를 인용, 라임운용이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투자한 것으로 지목된 기업 14곳의 주가 현황을 공개하며 "해당 업체 전체로 보면 1조917억원을 조달해 설비투자 등에는 불과 866억원을 쓸 뿐이고 고용에 미치는 효과는 14개 업체를 합해 7명에 불과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금융당국이 적절한 관리·감독을 못 해 피해를 키워 온 만큼 지금 곧 실사보고서를 공개하라"고 말했다.
김 회계사가 대표로 있는 경제민주주의21도 논평을 통해 금감원의 라임운용 자산 실사가 진행 중인 상황임에도 라임 펀드의 불법적 유용이 가능했던 점 등을 지적하면서 ▲삼일회계법인의 라임 투자재산 실사보고서 공개 ▲주요 관계자의 조속한 신병확보 ▲라임 투자의 불법성과 정치권 유착 의혹에 대한 신속하고 철저한 금융감독원 조사와 검찰 수사 등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 측은 "라임사태와 관련해 지난해 6월 불건전 투자정황을 포착한 이후, 라임운용, 포투코리아, 라움 뿐만 아니라 TRS 증권사(신한금투, KB증권)에 대한 광범위하고 장기간에 걸친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검사결과 확인된 범죄 혐의에 대해서는 신속한 수사를 위해 검찰에 정보사항으로 수시로 제공한 바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