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면역 논란, 이론적 개념은 존재하지만 현실과 거리감 존재‘억제 VS 완화’ 정책의 혼란, 사회적 합의를 통한 결정 필요 신속한 치료제 개발만이 종식을 위한 방법, 정부 차원 과감한 투자 ‘절실’
-
코로나19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두 달여의 시간이 지났다. 전방위적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로 일별 100명 내외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등 안정권에 접어든 양상을 띠고 있지만, 여전히 전문가들은 방역의 고삐를 풀면 안 된다고 경고한다.신천지 대구 교회의 집단감염이라는 변수는 어느 정도 잡혔지만, 서울·경기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은 확진자가 꾸준히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유럽 등 해외유입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등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이제 코로나19는 장기전에 접어들었고 적절한 방역체계를 유지하며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돼야 할 시기다. 이에 본지는 최근 논란이 되는 주제들을 정리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집단면역 60% 주장, ‘방역의 한계’로 해석“이론적으로 인구 60%가 면역을 가졌을 때 코로나19 확산이 멈출 수 있다.”코로나19 치료 관련 국내 전문가집단인 중앙임상위원회에서 집단면역(Herd Immunity)을 언급했다. 지난 24일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의 발언인데, 곧바로 후폭풍을 일으켰다.일각에서 인위적으로 고령자나 만성질환자 등을 죽음의 위험에 몰아넣는 행위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고 보건당국도 이를 의식해 “채택가능한 방역대책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자칫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이긴 했지만, 집단면역은 감염병과 관련 고전적인 개념이다.집단면역은 면역을 획득한 개인이 늘어나면 바이러스가 옮겨 다닐 숙주를 잃어버려 사라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1930년대 어린이 홍역이 자연적으로 감소한 현상을 두고 처음 사용됐다.사실 질병관리본부에서도 지난 2017년 카드뉴스 형태로 집단면역의 필요성을 홈페이지에 공개한 바 있다. 감염병 종식을 위한 기본적 원리이기 때문이다.집단면역이 얘기된 이유는 단기간의 통제정책으로는 이미 세계 대유행이 된 코로나19를 막기 힘든 상황이므로 ‘이론적으로 인구 60%가 면역을 갖게되는 시간까지’ 보다 치밀하고 장기적인 사회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팬데믹 방역정책 딜레마 봉착 후 ‘생활방역’ 등장사회 전반적인 통제와 억제정책이 시행되다 보니 국민은 일상적 생활이 뺏겼고 경제활동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사상 초유의 4월 개학도 미뤄야 할지 고민 중이고 각종 종교활동도 멈췄다.또 정부와 의료계는 감염병 확산 방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지칠 때로 지쳤다. 인력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진자 외 환자들을 제대로 돌보기 어려운 부수적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이러한 방역정책을 언제까지 유지할지에 대한 고민이 시작돼야 할 시기다. 앞서 집단면역이라는 단어가 나오게 된 것은 ‘방역정책의 완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즉, 방역정책의 딜레마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일례로 개학 연기 조치는 단기적으로는 학교가 감염원이 되는 상황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갖지만 언제까지 휴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알 수가 없다.그렇다고 마냥 휴학 상태를 유지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휴학이 지속되면 아이들을 돌봐야 하는 고령 할아버지, 할머니들을 더 큰 위험에 빠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중앙임상위원회의 분석도 나온 상태다.현시점 방역정책의 열쇠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적 합의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방역정책의 강도를 어떻게 조절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전언이다.이에 보건당국은 ‘생활방역’ 카드를 꺼내 들었다.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24일 “향후 15일 동안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의 성공적 실천으로 지역사회 감염을 현재의 방역·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줄여나가야만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 체계로 전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다음 달 개학까지 남은 기간 고강도 방역정책을 시행해 확진자 발생을 최대한 억제한 뒤 일상으로 복귀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뜻이다.생활방역 지침에는 출퇴근 시간 분산, 식당에서 지그재그로 앉기, 학교에서 교실 급식으로 전환하기 등 내용이 담겼다.
-
◆ 치료제 개발, 정부 차원의 과감한 투자 관건팬데믹 방역정책의 기본구조는 유행 커브를 펑퍼짐하고 길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대량 발생을 막아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정도로 환자를 유지하고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할 시간을 버는 것이 목적이다.코로나19 종식을 해결하기 위한 답은 누구나 알고 있듯이 백신이 개발되는 것이다. 그런데 아직 갈 길이 멀다. 적어도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는 백신개발과 함께 신약 재창출, 회복기 혈장 투여 등 치료제 확보에 적극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뜻이다.여기서 신약 재창출은 말라리아치료제 ‘클로로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에볼라치료제 ‘렘데시비르’, 에이즈치료제 ‘칼레트라’ 등 다른 적응증의 약제를 코로나19에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회복기 혈장 투여는 말 그대로 회복기에 접어든 환자의 혈장을 중증환자에 투여해 바이러스 억제 항체를 갖도록 하는 방법이다.이와 관련 김우주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는 “정부 차원의 과감한 연구비와 인력지원이 있어야 한다. 신약 재창출이나 회복기 혈장 투여의 근거를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 무척이나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그는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절실함이 있다면 정부가 ‘고려, 논의, 숙고’ 등의 단어는 쓸 필요가 없다. 위의 방법들은 연구기반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면 3~4개월이면 답을 내놓을 수 있다. 연구비 등 적극적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