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 등 집단감염 발생지역 ‘위험도 평가’ 기반 후속조치 필요‘확진자 동선 파악→ 감염 발생 환경’ 등 조사방식 변화 제안 질본의 행정용 역학 자료의 한계점 존재, 보완책 마련 필수
  • ▲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고려대의료원
    ▲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고려대의료원
    코로나19는 잡힐 듯하면서도 예상치 못한 곳에서 집단감염이 이뤄지고 있다. 사회 곳곳에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뚜렷한 대안이 없어 국민 불안감은 여전히 크다. 

    창궐 초기부터 방역당국은 접촉자 동선 파악 위주의 역학조사에 힘을 쏟고 있지만, 이제는 그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근본적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특정 공간에 대한 위험도 조사, 감염 발생 원인 파악 등 선제적 접근방식으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이 상태로는 지속적으로 터지는 지역사회 감염을 막을 수 없고 가을 재유행을 대비할 수 없기 때문이다. 

    1일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본지를 통해 “근본적인 역학적 문제의 해결 없이는 현재의 지역사회 집단감염은 물론 가을 2차 유행을 막을 수 없다. 방역당국의 역학조사는 과거형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했다. 

    클럽, 노래방, 교회, 콜센터, 물류센터 등 다양한 공간에서 감염이 발생하고 있는데, 접촉자 동선파악을 위주로 하는 역학조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원인 파악 없이 무작정 문을 닫고 소독하고 조치가 끝났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앞서 보다 면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만 대응이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즉, 역학조사의 디테일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클럽의 화장실, 에어컨 등 어디에서 바이러스가 농도가 높은지 등 위험도 조사를 벌인 후 소독을 실시하는 등 절차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위험도 평가를 기반으로 집중적으로 조심해야 할 부분을 설정해야만 선제적 대응이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천 교수는 “물론 방역당국이나 지자체에서 역학조사를 진행하면서 인력적 한계 등이 존재하는 것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힘들 때일수록 좀 더 힘을 내서 향후 대책까지 마련해야 그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천 교수가 소속된 대한역학회 차원에서는 방역당국에 보다 세밀한 역학조사를 시행하기 위한 제안과 함께 학회차원에서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역학적 문제에 대한 과제화 없이 재유행을 맞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질병관리본부가 보유한 행정용 역학 자료는 제한점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식에 대해서 지금 당장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