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부처·청 합동,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발표 범부처 데이터 통합 수집‧활용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조성인체유래물, 모델동물 등 '14대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 육성신·변종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데이터, 소재 신속 제공 체계 마련
  • 정부가 바이오 경제의 핵심 자원인 데이터와 소재 인프라를 본격 육성한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빅데이터 활용률을 7%에서 40%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연구 소재 자립률을 33%에서 6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일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제9차 회의를 통해 10개 부처·청이 함께 마련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을 확정했다.

    최근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생명의 실체와 그 기능에 관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등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은 바이오 연구개발 및 산업 발전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는 추세다.

    이에 정부는 ▲데이터 기반 바이오 연구 환경 구축 ▲수요자 맞춤형 바이오 소재 활용 촉진 ▲바이오 재난 대응을 위한 인프라 비상 운영 체계 정립 ▲지속 성장 가능한 민관 협력 기반 조성 등 4대 전략을 세웠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관계 부처와 함께 부처‧사업‧연구자별로 흩어져 있는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통합 수집‧제공하는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이하 데이터 스테이션)'을 조성한다. 데이터 중심으로 정부 바이오 R&D 사업을 관리하기 위해 '국가생명연구자원 수집‧관리 표준지침'을 제정하고, 데이터 등록 시 인센티브를 제공해 신설 제도의 조기 착근을 유도한다.

    데이터 활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국제 표준 및 국내 활용 수요를 기반으로 데이터 등록 양식을 표준화하고, 데이터 등록 품질을 관리해 산‧학‧연에 제공할 계획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및 협업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온라인 협업 공간 등도 함께 제공한다.

    부처별 운영하던 기존 소재자원은행(274개) 가운데 실적이 미흡한 은행은 구조조정을 통해 14개 분야의 소재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소재 클러스터별 맞춤형 육성 전략을 수립해 수요자 맞춤형 소재 및 서비스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소재 품질관리 강화, 소재 특성정보 확보, 새로운 소재 개발 등을 통해 혁신형 R&D를 촉진한다. 소재자원은행의 운영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관리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유행 전에 연구개발에 필요한 바이러스, 검체 등도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도 늘린다. 표준화된 동물 실험 플랫폼을 사전에 구축,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외의 감염병 연구결과와 질병관리본부 방역 과정에서 확보한 DB 등도 연계한다.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들의 경우 다부처사업으로 통합 운영, 범부처 정책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학‧연‧병의 생명연구자원 활용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으로 기초과정에서부터 전문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혁신성장동력은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인프라에서 시작된다"며 "4차 산업혁명을 이끌 AI 기반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범부처와 협력하여 동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