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단계 걸쳐 범정부적 역량 동원”… 공공백신개발센터 등 인프라 구축
  • ▲ 25일 오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제6차 회의'가 진행됐다. ⓒ박성원 기자
    ▲ 25일 오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제6차 회의'가 진행됐다. ⓒ박성원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해 우선 940억원을 투입하고 내년에는 2604억원 규모의 지원책을 발동할 계획이다. 

    정부는 25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회의를 열어 국내 주요 기업의 치료제·백신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 15건과 백신 1건 등 총 16건의 임상시험이 이뤄지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항체 치료제와 합성항원 백신을 각각 개발 중인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도 참석했다.

    우선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 과정이 중요한 만큼,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약 940억원 수준의 임상시험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달 8개 과제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는데, 이 가운데 셀트리온과는 지원 규모·조건 등을 우선 확정해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과 기업 간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내달 12일까지는 임상시험 비용을 지원하기 위한 2차 과제 공모도 진행한다.

    정부는 특히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모집, 기관윤리심사위원회(IRB) 상호 인정 등의 절차에서 기업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국가감염병임상시험센터’를 본격적으로 가동해 돕는다.

    임상시험센터에는 '신속대응팀'을 운영하는 한편,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에 상담센터를 설치함으로써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에도 나설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업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임상시험을 신속하게 심사·승인하기 위해 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 준비, 허가 신청 등 전 단계에 걸친 '전담심사팀'을 운영한다.

    기업의 해외 임상 지원도 강화한다. 일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파스퇴르연구소가 보유한 글로벌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현지 연구진·기관 연계를 도울 계획이다.

    정부는 “치료제·백신 개발이 성공할 경우, 차질없이 생산할 수 있도록 기업의 생산시설 및 장비 구축에도 올해 100억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1차로 바이넥스, GC녹십자 등 2곳을 선정해 총 52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내년 예산안, 올해보다 418억 증액된 ‘2064억’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2021년도에도 치료제·백신 개발에 힘쓸 예정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감염병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 방역물품·기기 고도화, 기초연구 강화 등을 위해 총 2604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올해(추경 1936억원 포함) 보다 418억원(19.1%) 늘어난 것이다.

    우선 항체·혈장 치료제, 백신 등을 개발하는 데는 올해(1115억원)보다 413억원 늘어난 1528억원을 편성해 임상뿐 아니라 후보물질 발굴 등을 위한 비임상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건립, 국립감염병연구소 연구 시설 확충, 한국 바이러스 기초연구소 설립, 등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515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특히 한국형 ‘방역 패키지’를 비롯한 방역 장비와 진단기기 고도화를 위해 371억원, 감염병 관련 기초연구를 강화하는 데는 190억원을 편성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는 끝까지 지원한다'는 원칙하에 내년 예산을 증액해 편성했다. 내년에도 기초연구부터 임상시험, 연구·생산 기반 확충 등 치료제·백신 개발 전 단계에 걸쳐 범정부적 역량을 동원해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