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악화 주범 ‘코로나19’ 종식 기대감‘뉴노멀’ 시대 기대와 우려 교차백화점·대형마트, 올해 출점 등 대규모 투자 지속
  • ▲ 롯데백화점 본점의 모습. ⓒ뉴데일리DB
    ▲ 롯데백화점 본점의 모습. ⓒ뉴데일리DB
    유통업계에 있어 2021년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높은 해가 될 전망이다. 새해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를 극복한 이후에도 어떤 형태의 소비 트렌드가 자리 잡을지 예측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새로운 표준이 자리 잡는 ‘뉴 노멀’의 시대를 앞두고 있다는 것이 유통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업계의 노력도 필사적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새해 ‘신축년(辛丑年)’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은 곳은 바로 대형 유통사들이다. 

    롯데쇼핑, 이마트, 신세계, 현대백화점 등이 모두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실적악화를 겪어 왔기 때문이다. 올해는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지면서 빠르게 확산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사실상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관전 포인트는 그 이후에 찾아올 변화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마무리 된 이후에도 과거의 소비 트렌드가 돌아오기 보다는 새로운 형태의 소비가 이뤄지는 이른바 ‘뉴노멀’ 시대가 오리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뉴 노멀’ 트렌드를 얼마나 빨리 파악하고 접근하느냐는 유통업계에게 있어 기회이면서 동시에 대표적인 불확실성으로 꼽힌다. 
  • ▲ 올해 오픈 예정인 신세계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조감도.ⓒ신세계
    ▲ 올해 오픈 예정인 신세계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조감도.ⓒ신세계
    크게 본다면 온라인 수요는 여전히 강세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배달 및 배송, 간편식 등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던 서비스에 대한 니즈 역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시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보복 소비’도 기대감을 높이는 대목이다. 반면 변화에 대한 대응이 조금만 늦어도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상존한다. 

    유통업계는 이를 위한 투자를 신축년에도 지속하겠다는 포부다. 

    먼저 롯데쇼핑은 지난해부터 이어온 폐점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오프라인 중심의 사업구조를 온라인과 융합한 옴니채널로 옮겨가기 위해서다. 하지만 단순히 구조조정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롯데쇼핑 내부적으로 신년에 대한 기대감도 적지 않다. 지난해 이어 올해도 백화점과 마트, 아울렛 등을 롯데리츠에 매각하면서 7700억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롯데쇼핑은 올해 e커머스 등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 할 예정이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통합 온라인몰 ‘롯데온(ON)’을 론칭하면서 본격적인 옴니서비스 강화에 나선 바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롯데쇼핑이 물류 계열사인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온라인 배송을 위한 물류기지를 신설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신세계 역시 새해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이마트는 실적 회복을 주도했던 리뉴얼 매장을 지속 확대하는 한편으로 트레이더스에 대한 출점을 진행할 예정이다. 코로나19에서 창고형 매장 트레이더스의 성장성에 대한 확신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올해 신규 출점 트레이더스 매장은 6개에 달한다. 

    신세계는 최근 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집중한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의 오픈이 오는 8월에 예정돼 있다. 5년만의 신규 출점이다. 신세계 사이언스콤플렉스는 지하 5층, 지상 43층으로 약 8만5천700평 규모로 구성되며, 백화점과 과학 시설, 호텔 등이 들어서는 대규모 상업시설이다. 
  • ▲ 현대백화점 여의도점.ⓒ현대백화점
    ▲ 현대백화점 여의도점.ⓒ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 역시 올 초 여의도점 출점을 앞두고 있다. 서울 시내 최대 규모다. 여기에는 아마존과 손잡고 만드는 무인자동화 매장인 ‘아마존고’를 비롯해 쇼핑하고 나오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저스트 워크 아웃’ 등 신기술이 대거 투입된다. 

    이 외에도 최근 인수한 복지몰 이지웰을 비롯해 클린젠코스메슈티칼(현 한섬라이프앤), SK바이오랜드(현대바이오랜드) 등 인수가 완료된 화장품 제조계열사의 신사업 진출도 본격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를 계기로 주요 유통그룹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신성장동력 확보 및 대규모 구조조정, 계열사간 시너지와 온라인 강화의 흐름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