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항원 백신 집중하면서 mRNA 사업단 운영 돌입 범정부지원委, ‘전략적 지원체계’ 목표로 ‘2627억’ 투입개발과정서 난관, ‘임상시험’ 비용 1300억 지원 등 추진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범정부 차원의 지원책에 힘입어 내년에는 국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능할지 주목된다. 

    올해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 등을 위해 총 2627억원의 정부 예산이 투입된다. 이는 지난해 예산보다 약 20%(441억원) 증가한 규모다.
     
    19일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범정부지원위원회) 제9차 회의를 열어 올해 추진될 각종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범정부지원위원회는 ‘전략적 지원’이라는 방향성을 설정했다. 특히 국산 1호 백신 접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 동향을 고려해 임상 가능성이 있는 품목에 집중한다. 합성항원 백신이 대표적인 예로 제시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합성항원 기반 백신을 개발 중이다. 후보물질 NBP2001는 지난해 11월 50명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에 돌입했고, GBP510도 빌&멜린다게이츠재단과 감염병혁신연합(CEPI)의 지원을 받아 임상 1·2상을 진행 중이다. 

    또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에 투자를 확대하고 컨소시움 형태의 mRNA(전령-리보핵산) 백신 사업단을 운영한다. 국내 도입 해외 백신 중 화이자와 모더나 제품이 mRNA 플랫폼으로 개발됐다. 

    코로나19 치료제는 경증~중증까지 중증도에 따른 포트폴리오 개발 전략을 마련해 임상 3상 진입이 임박한 전략 품목을 지원하기로 했다. 투약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높은 경구용 치료제나 중증환자 치료제 확보에 각종 지원책을 집중시키겠다는 목표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과정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임상시험 비용 부담 경감’이 이뤄진다. 특히 올해에만 약 13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관련 펀드도 만들어진다.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해외임상종합상담센터(국가임상시험재단)’ 등을 통해 임상 설계 및 전략 수립 등 해외 임상도 지원하기로 했다.

    신속한 임상 지원을 위해 ‘공공백신 임상시험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고, 전임상-임상 1~3상-허가․사업화 등 임상 단계별 전문 인력도 집중 양성한다. 

    이 밖에 면역대리지표(ICP)의 신속한 확립과 활용을 위해 국제 공조를 강화하고, 국가감염병임상시험센터 확대(’20년 3개 → ’21년 5개 컨소시엄), 중앙임상시험심사위원회 도입(약사법 개정) 등 제도 및 인프라 확충이 이뤄진다.

    정부는 이러한 계획들을 달성하기 위해 올해 지난해보다 약 20%(441억원) 증가한 총 2627억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치료제·백신 개발 1528억원,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 564억원, 방역물품·기기 고도화 345억원, 기초연구 강화 190억원 등 예산을 투입한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돼도 장기적으로 신종 감염병에 대비할 수 있는 자체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며 “최선을 다해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에는 지난해 만들어낸 치료제, 백신 등 중간결과물이 방역‧의료 현장적용이라는 최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범정부지원위원회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