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협회, 15일 온라인으로 포럼 개최미국과 자율주행 기술격차 1.2년 뒤쳐져미래차 인력육성, 투자활성화 촉진 정책 필요
  • ▲ 현대차의 아이오닉5 기반 자율주행차 모습. ⓒ현대차
    ▲ 현대차의 아이오닉5 기반 자율주행차 모습. ⓒ현대차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자율주행 기술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국, 중국에 비해 한국의 기술 수준이 크게 뒤쳐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술격차를 따라잡을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15일 ‘자율주행차 산업현황과 발전과제’를 주제로 제2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조창성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스마트안전실 실장은 ‘자율주행차 시장동향 및 시장활성화를 위한 발전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조 실장은 “2025년 이후 자율주행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다만 자율주행차 시장의 성장 속도는 시스템 가격 및 기술 신뢰도가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실장은 미국과 중국은 대규모 자율주행차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실증 데이터를 축적해 관련 기술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는 미국과 약 1.2년의 기술격차가 난다고 언급했다. 

    미국과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전체 자율주행 차량은 각각 1000대 이상인 반면, 한국의 시범서비스 차량은 30여대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국내에서 기업 전체의 자율주행차 누적 주행거리는 72만km이지만 미국 웨이보는 3200만km, 중국 바이두는 2100만km로 개별 기업의 누적 주행거리보다 적은 상황이다. 

    조 실장은 “국내 승용차에 적용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2 수준이지만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 인재가 부족해 해외와의 기술격차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율주행을 위한 AI를 학습시키고 검증하는데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필수적이며, 다양한 경우의 수와 방대한 데이터를 쌓을 수 있는 대규모 테스트 베드가 필요하다”면서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은 대규모 자금과 장기 투자가 필요한 점을 감안해 기업들의 투자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R&D)  세액공제 확대, 미래차 관련 핵심인력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후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가 ‘자율주행차 기술 동향 및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임 대표는 “현대차는 올해 제네시스 G90에 레벨3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라면서 “반면, 테슬라는 2014년 오토파일럿을 양산하기 시작해 현재는 레벨5 풀 셀프 드라이빙(FSD)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웨이모, 모빌아이도 차별화된 기술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대표는 “국내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지만 주요국과 비교해 열세에 있다”면서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 및 정책 부분의 지원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 대표는 구체적으로 민간 중심의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투자활성화 및 신규창업 촉진 정책이 절실하며, 산학연 연계를 통해 신규인력 양성, 우수 인력의 해외유출 방지 및 국내 유입을 위한 국가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