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최대 20만 확진 예상… 권역별 병상 ‘공동 활용’ 셈법거점전담병원 운영 등은 연말까지 지속 정부, 확진자 추이 고려해 ‘일반의료체계 전환’ 가속도
-
정부가 코로나19 병상을 약 70% 감축시켰다. 줄어든 확산세에 일반의료체계 전환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하반기 재유행시 대응의 문제인데, 기확보된 병상으로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5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으로부터 ‘코로나19 병상 조정 현황’을 보고 받았다.이에 따르면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24일까지 코로나19 병상 2만656개(증·준중증 병상 1653개, 중등증 병상 1만9003개)를 지정 해제했다. 지난달 중순 2만9000여개였던 것을 고려하면 약 70%가 일반 병상으로 전환된 셈이다.이날 0시 기준으로 보유한 코로나19 병상은 8625개이며 중증 1911개, 준중증 2902개, 중등증 3812개다. 병상 가동률은 17.1%다.정부는 앞으로도 유행 규모와 병상 가동률, 지자체 의견 등을 고려해 병상 수를 조정할 계획이다.중증·준중증 환자 병상을 중심으로 긴급치료병상,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거점보유병상 중심으로 유지하고 중등증 환자는 일반의료체계로 대응하는 것이 핵심이다.우려스러운 대목은 하반기 재유행시 줄어든 병상으로 대응이 가능하냐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치명률과 위험도 등으로 볼 때 재유행 규모를 10만~20만명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현재 확보된 병상으로도 대응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병상을 감축하고는 있지만 국가격리 음압병실, 긴급치료병상으로 확보한 병상이 있고, 전체 병상을 비운 거점전담병원이 연말까지 운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그는 “그 병상들을 감안했을 때 15~20만 정도는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하반기 오미크론 재유행은 병상 대응이 무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당국은 확보된 코로나 병상을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등 전국의 7개 권역에서 함께 쓰는 권역별 병상 공동 활용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반기 재유행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