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열풍에 앞다퉈 관련 조직 신설… 수급 불균형 극심전문가 턱없이 부족해… 연봉 20~30% 올려준다 제의도수요 계속 늘듯… 기업들 인재 충원하고 유출 막으려 고심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인재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정작 ESG 전문가는 찾기 힘들어 기업 간 인력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9일 재계에 따르면 ESG경영 강화로 관련 인력이 채용시장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대기업 관계자는 “과거에는 회사 내부에서 인사팀이나 재무팀으로 이동하면 '인정 좀 받는다'는 이미지였지만, 최근에는 ESG팀으로 가는 것을 더욱 선호하는 분위기”라면서 “업계를 막론하고 관련 인력이 모자라다 보니 더 좋은 회사로의 점프업 기회로 보는 것 같다”라고 귀띔했다. 

    ESG가 지속 가능 경영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관련 인력의 위상도 달라지는 분위기다. 지난 몇 년 사이 ESG 분야가 성장해왔던 해외와 달리, 국내에선 출발이 늦다보니 인재 수급 불균형이 극심한 상황이다.

    과거 기업들이 사업장별로 직원들의 환경과 안전을 담당할 사람을 모집하는 수준에 그쳤다면 현재는 ESG 업무를 담당하는 별도의 조직을 구성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ESG 전담조직을 꾸리는가 하면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하는 식이다. ESG에 회의적인 기업들까지도 전문가 고용을 늘리고 있어 업계 전반에서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특히 철강이나 화학 분야 출신의 ESG 인력 몸값은 부르는 게 값이라 연봉을 20~30% 얹어주겠다며 이직을 권유하는 실정이다. 철강‧화학산업이 주요 온실가스 배출 산업인만큼 선제적으로 ESG 경영에 대응해왔기 때문이다. 탄소배출량 감축이나 친환경 기술개발, 사업장 안전‧보건 관리 등이 대표적이다. ESG가운데서도 환경부문에 대한 투자와 노력이 글로벌 투자유치와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업계 사정에 밝은 한 헤드헌터는 “관련 인력 부족 이야기는 ESG 도입 초기인 작년부터 나왔지만 갈수록 그 비중이 계속 늘고 있다”면서 “대기업들이 경력직 공채를 통해 관련 인원을 충원하고 있지만 전문성을 담보하기 위해 헤드헌팅 의뢰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ESG 실무와 평가 경험이 있는 회사서 초기부터 몸담았던 인력들은 물론이고 환경대학원 출신 석박사들이면 일단 문의를 하고 보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ESG 열풍이 기업의 업종과 규모를 가리지 않고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인재 쟁탈전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 86개사의 81.4%가 작년 대비 올해 ESG 사업예산과 인력을 더욱 늘릴 예정이라고 답했다. 특히 ESG 경험이 풍부한 전문인력이 부족해 채용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응답기업의 93.3%가 ESG 전담부서 구성원의 업무 경력 기간이 5년 이하라고 답했다. 이 가운데 2년 이하가 54.1%로 절반 이상이었다. 

    ESG 정보와 관련 다양한 공시규제가 나오고 있다는 점도 전문가 영입 경쟁을 가속화 할 전망이다.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이 설립한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SSB)는 올해 연말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지난 3월 31일 초안이 발표됐으며, 지속가능성·기후변화 두 파트로 구성됐다. 올해 연말 최종안이 확정될 경우 국내외 기업들에게 적용이 권고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인 코스피 상장사들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반드시 공시해야 한다. 2030년에는 전체 코스피 상장사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내야 한다. 현재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만 적용 중인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의무 역시 2026년 모든 코스피 상장사에 적용된다.

    재계 관계자는 “글로벌 수준의 ESG 기준을 맞추기 위해선 관련 조직과 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국내 ESG 역사가 짧은 만큼 풍부한 경험을 가진 인재를 신규 확보하는 동시에 기존 인재의 유출을 막기 위해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늘리는 등 다양한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