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서브마린 지분 인수로 사업역량 강화최근 글로벌 수주 규모 1조2000억원에 달해
  • ▲ LS전선 동해 공장에서 생산된 해저 케이블이 포설선에 선적되고 있다. ⓒLS전선
    ▲ LS전선 동해 공장에서 생산된 해저 케이블이 포설선에 선적되고 있다. ⓒLS전선
    LS전선은 최근 해저 시공 전문업체인 KT서브마린의 지분 16%를 인수했다.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양사 간 시너지를 내기 위한 투자다. 

    업계에서는 LS전선이 내년에 콜옵션을 행사해 최대 주주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저케이블 시장의 급성장에 맞춰 사업 역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LS전선은 해저케이블 제조 역량과 KTS의 시공 엔지니어링 기술, 선박 운영 능력을 결합해 해외 사업에서 수주 경쟁력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서브마린이 LS전선과 협력을 통해 사업 기회를 확보, 실적을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LS전선이 포설선을 해외에서 대여하거나 매설 등을 외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KT서브마린이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정책 이행이 본격화되면서 LS전선이 올 한 해 북미·유럽·아시아에서 따낸 대규모 수주는 총 1조2000억원에 이른다. 

    최근 LS전선은 영국 북해 노퍽 해상풍력발전단지 2곳에 총 6400억원 규모의 HVDC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 전선업체가 유럽에서 수주한 역대 최대 규모 계약이다. 북해를 중심으로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활발한 만큼 추가 수주 가능성도 크다.

    북미와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공략도 본격화되고 있다. 올 초 북미에서 35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대만에서는 지난 3년간 총 8000억원 규모의 해저케이블 공급권을 확보했다. 

    또 해상풍력발전사업 세계 1위인 덴마크 오스테드社와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시장 또한 글로벌 해저케이블 사업을 가속하는 디딤돌 역할을 할 전망이다. 해상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를 골자로 한 IRA가 시행되면서 LS전선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IRA가 해상풍력 산업에 상대적으로 완화된 규제를 적용한다는 점도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다른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우 미국산 비중이 40%인 반면, 해상풍력은 20%만 상회하면 된다. 미국산 해저케이블 공급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LS전선에 청신호다.

    사업 확대를 위한 신기술 개발도 성과를 내고 있다. LS전선은 유럽과 북미에서 사용하는 전압형(VSC) HVDC 케이블 개발에 성공했다.

    LS전선 관계자는 “해상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에는 대부분 HVDC 케이블이 사용된다”며 “전 세계적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확대로 HVDC 케이블 시장이 10년 내 연간 수십 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