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공공요금 줄인상, 물가에 악영향5%대 고물가 상당 기간 지속할 전망中리오프닝 국제 원자재가 영향도 주목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전기·가스요금에 이어 택시와 버스·지하철 등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요금도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5%대 고물가시대가 예상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초반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를 기록한 이후 11월과 12월 5.0%까지 둔화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완화하고 있다는 낙관적인 분석이 나왔었다.

    그러나 올해 1월 들어 5.2%로 상승 폭을 확대한 데 이어 2월 지표도 상승세가 이어지면 5%대 고물가가 상당 기간 굳어질 공산이 크다.

    지난달 전월 대비 물가 상승률은 0.8%로 2018년 9월(0.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물가 상승률이 6%대를 찍었던 지난해 여름에도 전월 대비 물가 상승률이 0.7%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1월 물가 오름세를 가볍게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물가 상승 주범은 전기요금·상수도 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이다. 문제는 공공요금이 물가 상승률을 밀어올리는 현상이 1분기를 지나 2분기 초입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자체도 물가 인상을 거들고 있다. 대구시는 1월 중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3300원에서 4000원으로 700원 올렸다.

    서울시는 이달 1일자로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3800원에서 4800원으로 1000원 인상했다. 전남 나주시도 이달 1일자로 시내버스 요금을 평균 14.3% 올렸다.

    이미 실행된 지자체 교통요금 인상분만 반영해도 이미 2월 물가는 5%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된다.

    3월에는 거대 지자체인 경기도가 중형택시 기본거리를 기존 2.0㎞에서 1.6㎞로 줄이고 기본요금도 3800원에서 4800원으로 1000원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4월에는 서울시가 지하철·버스요금을 300~400원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이 1250원, 시내버스는 1200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인상 폭이 20~30%에 달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3.2%에서 3.5%로 0.3%포인트(p) 올려잡았다. 지난해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이 공공요금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상향 조정의 근거로 들었다.

    KDI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파급을 고려해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도 3.3%에서 3.4%로 상향조정했다. 공공요금 인상이 여타 재화·서비스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이 물가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중국의 방역 정책 완화 이후 경제활동이 예상보다 빠르게 정상화할 경우 글로벌 경기가 빠르게 개선되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을 추동할 수 있다는 견해다.

    미국에선 소비자물가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중고차 평균 거래 가격이 1월 중 2.5% 올랐다. 지난해 12월(0.8%)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한편 정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분기 중 4%대, 하반기 중 3%대로 둔화할 것으로 보고 거시경제 정책의 무게 중심을 물가에서 경기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