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比 1.7조↑… 2018년 4분기 이후 최대치기업‧가계여신 신규부실 각각 1.1조, 0.5조 증가'9월 위기설' 제기… 당국은 "문제 없어"
-
올해 2분기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신규 발생 규모가 지난 2018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경기 불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여신에서의 신규 부실이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보니, 이달부터 시작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조치의 단계적 종료로 대출 부실 리스크가 폭발하는 이른바 '9월 위기설'이 더욱 증폭되는 양상이다.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6월말 국내은행 부실채권 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 신규발생 부실채권 규모는 4조원으로 전년 동기(2조 3000억원) 대비 1조 7000억원 증가했다.이는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한 금융위기 가능성이 커졌던 2018년 4분기(7조 1000억원) 이후 최대 규모다. 전분기(3조원) 대비로도 1조원이 증가해 3개월 만에 신규부실 규모가 급격하게 늘었다.대부분의 신규부실은 기엽여신에서 나왔다. 2분기 기업여신에서 발생한 신규 부실채권은 2조 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 7000억원) 대비 1조 1000억원 폭증했다.중소기업여신 부문에서 9000억원(1조 5000억→2조 4000억원), 대기업여신에서 2000억원(2000억→4000억원)씩 각각 늘었다.가계여신 부문의 신규부실은 1조원으로 전년 동기(5000억원) 대비 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여신 중 주택담보대출 신규부실은 10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3000억원 올랐다. 신용카드쪽 신규부실은 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변화가 없었다.6월말 기준 국내은행 총 부실채권 규모는 10조 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0조 3000억원)나 전분기(10조 4000억원) 큰 차이가 없었고, 따라서 부실채권비율 또한 0.41%로 전년 동기 및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하지만 이는 은행권이 부실채권 정리규모를 늘린 것에 따른 착시효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규부실에 급증했음에도 기존 부실채권을 대거 정리함으로써 부실채권비율을 낮췄다는 지적이다.실제로 2분기 중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3조 9000억원으로 전분기(2조 7000억원) 대비 1조 2000억원, 전년 동기(2조 9000억원) 대비 1조원 각각 증가했다.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선 제기된 '9월 위기설'이 힘을 받고 있다. 이달부터 코로나 시기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를 해준 것이 단계적으로 종료됨에 따라 부실이 커지고, 이러한 부실리스크가 금융권 전반에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코로나 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기연장이 9월에 한꺼번에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2025년 9월까지 3년간 연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부실 위험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6월말 기준 만기연장 대상 차주는 34만명으로 전체의 약 97%, 이들의 대출잔액 또한 전체(76조 2000억원)의 93%에 달한다는 설명이다.허나 기업여신을 중심으로 신규부실이 크게 늘어나는 상황을 고려하면, 코로나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의 단계적 종료가 은행권 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 보인다.은행권이 대손충당금을 늘리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6월말 기준 국내은행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26.4%로 전년 동기(205.6%) 대비 20.8%p 상승했다.금감원 관계자는 "부문별 부실채권 증감 및 취약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적극적인 상‧매각 등을 통해 하반기에도 자산건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며 "아울러 은행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를 지속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