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500대 기업 2024년 국내 투자계획’ 조사
  • ▲ ⓒ한국경제인협회
    ▲ ⓒ한국경제인협회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아직 내년도 투자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금리·고환율과 중동 및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경기 회복 지연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내년도 경제 전망도 불투명해진 탓이다.

    4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국내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131개사)의 55.0%는내년도 투자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거나(49.7%), 투자 계획이 없다(5.3%)고 답변했다.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 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61.0%)이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했으며, 올해보다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는 응답(28.8%)이 축소 응답(10.2%)보다 많았다.

    지난해 실시된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투자계획이 미정인 기업 비중은 지난해 38%에서 올해 49.7%로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들 중에서는 내년 투자 확대를 전망한 기업 비중이 지난해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나는 등 긍정적인 신호도 나타났다.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에서 투자 확대 응답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13.5%였으나 올해 28.8%로 15.3%포인트(p) 증가한 반면, 축소 응답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19.2%에서 올해 10.2%로 9.0%p 감소했다. 

    한경협은 이같은 결과에 대해 불확실한 경영 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투자를 미루고 있는 기업들이 여전히 많지만, 그럼에도 작년보다는 많은 기업들이 자사 경쟁력 제고와 미래 시장변화 대비를 위해 투자 확대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내년에 투자 확대를 계획하는 기업들은 주요 이유로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37.3%)’를 꼽았으며, 이 밖에 ▲내년 경제전망 양호(25.5%) ▲업황 개선 기대감(15.7%) ▲불황기 적극 투자로 경쟁력 확보(7.8%) 등을 지목했다.

    내년도 투자 축소를 계획하거나 투자 계획이 없는 기업(미정 포함)은 그 이유로 ▲불투명한 경제 전망(31.6%) ▲원가 상승 리스크 확대(26.6%) ▲금융시장 위축에 따른 자금조달 애로(14.3%) 등을 꼽았다.

    내년 기업 투자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리스크 요인은 ▲고금리 지속(33.6%)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고환율·고물가 지속(24.2%) ▲글로벌 경기 둔화(21.6%) ▲민간부채 위험(9.4%) 순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물가가 최근 안정세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한은의 목표물가 수준(2.0%)을 상회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당분간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기업 투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경기가 회복돼 투자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는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기업 3개사 중 1개사(32.8%)가 2024년 하반기로 응답했다. 2024년 상반기는 12.2%, 2025년은 19.8%(상반기 15.3%+하반기 4.5%)로 집계됐다. 

    현재 기업들이 투자할 때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시설투자 신·증축 관련 규제(28.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규제와 관련 지원 부족(18.1%) ▲신산업 진입 규제(14.0%) ▲연구개발(R&D)·시설투자 지원 부족(13.7%) 등이 투자 애로 요인으로 지목됐다. 

    기업들은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 ▲금리 인하(28.8%) ▲법인세 감세 및 세제지원 강화(22.6%) 등 자금사정 개선대책을 주문했고, 이어 ▲투자 관련 기업규제 완화(18.3%) ▲금융지원 확대(12.7%)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 불확실성 지속과 실적 부진 등 경영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작년에 비해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기업들이 늘어난 것은 우리경제에 고무적 조짐으로 해석된다”면서 “투자심리를 확실히 반전시킬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등 제도적 개선을 지속하는 한편 기업들의 어려운 자금사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금융·세제 지원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