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촌치킨·BBQ치킨·BHC치킨 본사, 지난해 매출 일제히 증가
  • ▲ 양념치킨과 후라이드 치킨 모습. ⓒ연합뉴스
    ▲ 양념치킨과 후라이드 치킨 모습. ⓒ연합뉴스


    경쟁 심화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타격이 심하다던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들의 본사 매출이 지난해 최대 5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업체의 경우 '가맹점 수익 보호'를 이유로 들며 가격 인상을 추진했던 터라 가맹점주들이 생존권을 위협받는 사이 본사들이 배만 불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교촌치킨, BBQ치킨, BHC치킨 등 '빅3' 프랜차이즈 본사의 지난해 매출이 일제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촌치킨(회사명 '교촌에프앤비')의 지난해 매출은 2911억 원으로, 전년(2575억 원)에 비해 13% 이상 급증하며 매출 기준 업계 1위 자리를 지켰다.

    이 추세대로라면 조만간 치킨업계 최초로 매출 3000억 원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BBQ에 밀려 업계 3위로 고전하던 BHC치킨은 매출이 전년(1840억 원) 대비 30% 급증한 24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사 측은 구체적인 액수는 밝히지 않고 있으나, 이렇게 되면 BHC는 BBQ를 제치고 업계 2위로 등극하게 된다.

    가맹점 수가 가장 많은 BBQ 역시 소폭이기는 하지만 매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 2197억원을 기록했다.

    교촌·BHC·BBQ 등 빅3와 다소 격차는 있지만, 이외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들이 매출도 전반적으로 크게 늘었다.

    그중에서도 굽네치킨은 새로 출시한 '굽네 볼케이노'가 히트를 하며 매출이 전년 대비 50% 가까이 급증한 1469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무려 150% 폭등했다.

    굽네는 1000억 원대에 처음 진입했을 뿐만 아니라 업계 5위인 '네네치킨'과의 격차도 크게 벌렸다.

    이 밖에 멕시카나(507억→521억 원), 페리카나(397억→438억 원), 처갓집양념치킨(434억→485억 원) 등 주요 프랜차이즈들의 매출도 대체로 증가했다.

    네네치킨은 거의 유일하게 매출이 전년보다 7%가량 줄어든 567억 원에 그쳤으나, 지난해 말 출시된 신메뉴의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올해는 매출이 다시 반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동안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업계 경쟁 심화로 광고비, 마케팅비 지출이 급증한 데다 인건비, 임대료 등 비용 상승으로 가맹점의 수익 하락이 우려된다고 주장해왔다.

    일부 업체들은 가맹점 수익 보호를 이유로 들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물론 이런 주장에 전혀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1분기 외식업의 향후 3~6개월간의 성장 및 위축 정도를 나타낸 미래경기지수를 보면 치킨집의 경기 전망이 외식업종 가운데 가장 낮았다.

    2015년 한해 문을 닫은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 2793개로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했고, 올해도 폐점률은 더 심화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정작 주요 가맹 본사의 매출은 대부분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어서 가맹점주들이 경영난에 허덕이는 사이 본사는 실적 늘리기에 급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가격을 올리겠다고 발표했다가 정부의 '공개 압박'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가격 인상 계획을 전면 철회한 BBQ가 대표적이다.

    지난달 BBQ는 "인건비, 임차료,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용 등이 상승했고, 신규로 발생한 배달대행료, 배달앱 수수료 등의 추가 비용 증가로 가맹점의 수익성이 지속 악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가맹점 수익 보호를 위해 가격을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BBQ 감사보고서를 보면 매출 증가 폭은 크지 않았으나 영업이익이 191억 원으로 전년(138억 원) 대비 38% 급증했다.

    특히 BBQ는 매출 1위인 교촌치킨(176억 원)보다도 영업이익을 더 많이 남겼다. 그만큼 가맹영업을 통한 본사의 마진도 크게 늘었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브랜드마다 신제품을 출시해 소비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었고 배달앱 등을 통한 주문량 급증 영향으로 치킨 시장 자체가 커졌다"며 "시장이 포화상태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자영업자들의 창업 1순위가 치킨집이기 때문에 가맹 본사들의 매출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가격 조정은 업체의 고유 권한이기는 하지만 본사에서 비용 절감이나 마진율 감소를 감내하려는 노력 없이 무조건 가격부터 올린다면 소비자들의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