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산하 공공기관의 인사·채용 비리에 대해 칼을 빼들었다. 최근 강원랜드,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석유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디자인진흥원 등 산하 공공기관의 채용 비리가 잇따라 불거지면서 사회적 지탄 대상이 됐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우선 채용비리 감사를 공직유관단체까지 확대하고, 감사 인력도 기존의 2배로 늘리기로 했다. 이미 발생한 채용비리에 대해선 엄중하게 처벌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산업부는 30일 서울 종로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산하 41개 공공기관 인사·채용 관련 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박일준 기획조정실장 주재로 '채용비리 근절을 위한 공공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지난 27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제로 열린 '공공기관 인사ㆍ채용비리 근절 추진 긴급 간담회'에서 논의된 △채용비리 감사 확대 △채용 비리 근절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특히 41개 공공기관 채용담당 임원들이 올해 채용부터 비리 근절을 다짐하는 서약을 맺고, 온정적·봐주기식 문책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행점검을 실시하는 등 발생한 채용비리에 대해선 엄중하게 처벌하기로 했다.

     

    서약서엔 채용 관련 어떠한 청탁도 받거나 하지 않으며, 채용 직무를 공정하고 성실히 수행하고, 청탁·비리 사실이 발생하면 즉시 신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산업부는 또, 채용비리 감사 대상을 공직유관단체까지 확대하고, 산하 공공기관에 대해선 11월말까지, 20개 유관기관은 연말까지 채용비리 특별점검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 ▲ ⓒ연합뉴스

     

    이와 함께 산업부 내 감사 유경험 인력을 차출하고 공공기관 인력을 지원받아 감사 인력을 기존의 2배로 늘려 철저하고 강도높은 감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채용비리 신고센터'를 오는 11월부터 설치·운영하고, 공공기관 별로 채용관련 규정 개정 등 제도 개선도 추진키로 했다.

     

    이 외에도 산업부는 향후 공공기관 채용 시 채용절차 공개와 가능한 경우 외부에서 채용절차 수행, 최근 5년간 채용 관련 서류 파기·수정 없이 연말까지 보존 등을 산하 공공기관에 요청했다.

     

    산업부 박일준 기획조정실장은 "산업부와 소관 공공기관은 누구보다 이번 채용비리 사안의 중대성과 심각성을 절실하게 깨달아야 한다"면서 "다시는 우리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꺾고 위화감을 안겨주는 일이 없도록 채용비리 연루자에 대한 신속하고 엄중한 조치와 선제적인 채용비리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엔 강원랜드, 국제원자력대학원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대한석탄공사, 전략물자관리원,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서부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원자력문화재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전력기술, 한국중부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한전KDN, 한전KPS, 한전원자력연료, 한전의료재단 한일병원 등 공기업 16곳, 준정부기관 15곳, 기타 공공기관 10곳 등 총 41곳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