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제주공항서 보안검색 사고… 두 달만에 보안검색 또 먹통작년 7월 군산공항 사고 이후 보안사고 반복… 국토부 징계 무용론대형사고로 이어질라 불안감 고조… 제주공항 "모니터링 보완할 것"
  • ▲ 제주국제공항.ⓒ연합뉴스
    ▲ 제주국제공항.ⓒ연합뉴스
    한국공항공사 제주국제공항에서 두 달여 만에 또 보안검색에 구멍이 뚫렸다. 정부는 지난해 7월 군산공항의 보안검색 사고 이후 공항공사를 엄중 문책하며 기강 잡기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 없이 비슷한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다. 큰 사고로 번지기 전에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제주지방항공청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6시쯤 제주공항 3층 국내선 출발장의 문(門)형 금속탐지기 1대가 1분쯤 꺼져 탑승객 6명이 보안검색을 제대로 받지 않은 상태로 통과했다. 보안검색 직원이 뒤늦게 이를 인지해 현장에서 4명은 재검색했지만, 이미 면세구역에 진입한 나머지 2명은 폐쇄회로(CC)TV로 동선을 추적한 뒤에야 항공기 탑승 전 다시 검색할 수 있었다. 

    공사 측은 단선 과부하로 인해 문형 금속탐지기의 전원이 꺼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보안검색 사고가 불과 두 달여 만에 되풀이됐다는 점이다. 제주공항은 지난 4월 5일에도 문형 금속탐지기 1대가 8분간 작동이 안 되는 사고를 겪었다. 당시 공사는 사고 원인에 대해 누군가 전원선을 건드렸기 때문이라고 봤다. 어처구니없는 보안사고로 8분간 31명의 탑승객이 검색 없이 통과했고, 공사는 사고 발생 40분이 지나서야 각 탑승구 앞에서 신체 검색을 진행했다. 31명 중 일부 탑승객은 검색 없이 공항을 떠났다. 이날 출발편 항공기는 1시간쯤 지연됐다. 

    이후 공사는 재발방지를 약속하며 자체 개발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내놨다. CCTV가 문형 금속탐지기의 전원 상태를 인식해 전원이 꺼지면 알람이 울리는 방식이다. 제주공항과 김포공항에 시범적으로 우선 설치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5일 발생한 사고에서는 무용지물이었다. 작동 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 특정 조도에서 전원 상태 인식을 하지 못한 탓이었다.

    이번 사고로 국토교통부가 공항공사에 대한 관리 고삐를 더욱 옥죌 가능성이 제기된다. 올해 2월 국토부는 지난해 7월 군산공항에서 발생한 사고를 엄중히 문책하며 해이해진 공항공사의 내부 기강을 바로잡으려 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에만 2건의 보안사고가 발생하면서 국토부의 호언장담은 헛구호에 그치게 됐다. 더군다나 최근 아시아나항공 비행기의 비상문 열림 사고까지 겹치면서 항공 안전 이슈의 불똥이 국토부로 옮겨붙을 조짐이다.

    지난해 7월 발생한 군산공항 보안사고는 12분 동안 검색 장비가 꺼진 상태에서 탑승객 29명이 검색대를 통과해 논란이 됐다. 특히 공항공사 자회사의 보안검색요원이 재검색을 건의했는데도 공사 보안검색 감독자가 이를 무시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줬다. 이 밖에 반출입되는 위해물품의 품목과 수량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점도 도마 위에 올랐었다.

    당시 국토부는 공항공사를 강하게 질책했다. 공항공사와 보안 담당자를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하고, 500만 원의 과태료도 부과했다. 지난 2월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은 공항공사 사장과 면담한 자리에서 "한 치의 빈틈도 없이 항공보안과 조직관리를 철저히 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이렇듯 반복되는 보안사고를 막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항공 분야에서의 사고는 업계 특성상 대형 사고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불과 수 개월 간격으로 동일한 누수 상황이 발생하면서 큰 재해로 이어지기 전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항공청 측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한 관계자는 "금속탐지기 전선을 통해 전원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시스템을 문형 금속탐지기마다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