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사전청약 '흥행'…모두 두자릿수 경쟁률 유지공사비 인상에 분양가↑…본청약때 더 오를수도 "당첨자 이탈 사업실패로 직결…대처방안 필요"
  • ▲ 순항하고 있는 뉴홈 프로젝트에 부작용이 노출되고 있다. ⓒ뉴데일리DB
    ▲ 순항하고 있는 뉴홈 프로젝트에 부작용이 노출되고 있다. ⓒ뉴데일리DB
    민간아파트 분양가격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수요자 시선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주택 '뉴:홈'으로 쏠리고 있다. 하지만 뉴홈마저 추정분양가격이 전용 84㎡ 기준 10억원을 초과하는 실정이다. 여기에 확정분양가 조정여부 및 본청약 지연 등 잠재된 리스크도 상당해 사전청약 당첨자들 줄이탈이 염려된다. 

    현정부 주요 공급대책인 뉴홈은 주변 시세대비 20~30% 저렴하고 저금리 대출이 지원돼 무주택 실수요자 관심이 높았다. 

    실제 2022년 12월부터 4차례 진행된 뉴홈 사전청약은 매번 놀라울 정도로 높은 경쟁률 속에서 마감됐다. 

    1차때는 평균 24대1을 기록했고 △2차 82.7대 1 △3차 43.6대 1 △4차 19.6대 1로 늘 두자릿수 경쟁률을 나타냈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만큼 뉴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상황"이라며 "향후 실시될 추가 5, 6차 사전청약에 있어서도 높은 경쟁률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뉴홈도 공사비 인상에서 자유롭지 못한 모습이다. 

    일례로 뉴홈 4차 물량인 서울 대방A1 추정분양가격은 3.3㎡당 3283만원 수준으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서울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인 3780만8000원 보다 살짝 밑돌았다. 심지어 인근 상도동(2678만원)과 관악구(2750만원) 평균 분양가보다는 오히려 높았다. 

    지난해 공급된 서울 동작구 수도방위사령부 부지도 마찬가지다. 추정분양가 3.3㎡당 3474만원으로 전용 59㎡ 기준 공급가격이 8억7225만원에 달했다. 

    비슷한 시기에 공급된 민간아파트 '영등포자이 디그니티(전용 59㎡)' 분양가격이 최고 8억6900만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결코 저렴하다고 볼 수 없는 수준이다. 이외 △휘경자이 디센시아 7억7000만원 △DMC 가재울 아이파크 8억8280만원과도 엇비슷했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물론 뉴홈 대장주라 비쌀 수 있지만 무주택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내놓은 주택이라는 점에서 결코 저렴하지 않다"며 "주변 시세대비 저렴하더라도 서민들에게 부담스러운 금액이며 이로 인해 당초 뉴홈 취지가 퇴색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욱 문제는 사전청약에서 책정된 추정분양가인 만큼 지속되는 공사비 상승 여파로 향후 본청약시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실제 '성남 복정1 A1(전용 59㎡)'은 2021년 사전청약 당시 추정분양가가 6억7616만원이었다. 다만 다음해 실시한 본청약에서의 확정분양가는 6억8197만~7억3404만원으로 책정됐다. 최고 8.6%(5788만원) 오른 셈이다. 

    지난해말 본청약을 실시한 '인천 검단신도시 AB20-2블록9(전용 84㎡A)' 확정분양가는 최고가 기준 4억9800만원이었다. 사전청약 당시 추정분양가와 비교하면 약 10% 상승했다. 

    또 사전청약 특성상 본청약이 밀리는 등 사업지연으로 인한 추가 가격부담도 감안해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2022년 9월 본청약이 예고된 '인천 검단신도시 AB20-1블록'은 지난 1월 간신히 분양을 실시했다. 그러는 사이 전용 72㎡ 예상분양가(3억9900만원)는 4억3500만원으로 뛰었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본청약 시점에서 당첨자들이 대거 이탈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사전청약 제도가 재도입된 2021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실시된 공공 사전청약 4만4352가구 중 실제 본청약 신청자수는 2819명(6.4%)에 불과했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상황은 지켜봐야 하지만 공사비가 지속 오르고 있어 본청약 돌입시 확정분양가 상승은 불가피하다"며 "뿐만 아니라 각종 변수로 인한 사업지연으로 분양가는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는 곧 당첨자들의 이탈현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사업실패로 직결될 수 있다"면서 "정부차원에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