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임원급 155명 조사3대 리스크는… 기후-성장둔화-저출산한경협 "리스크 전담 조직 제안"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기업들이 경영을 위협하는 다양한 요인 중 정치·경제·사회 리스크에 대해 중앙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 분야에 관한 리스크는 개별 기업 차원의 대응으로도 충분하다고 봤다.

    28일 한국경영인협회는 국내 소재 글로벌 기업 임원급 155명을 대상으로 '대내외 주요 리스크에 대한 기업 인식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조사에서는 정치·경제·사회·기술·환경 등 5대 분야 총 25개 세부 리스크 중 기업 입장에서 발생 가능성 및 파급 효과를 중심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핵심 리스크를 선정했다.

    응답자의 21.3%가 폭염·폭설·폭우 등 극한 기후를 핵심 리스크로 꼽았다. 그 뒤를 ▲성장잠재력 둔화(14.8%)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13.5%) 순으로 이었다.

    이들 3대 리스크 요인은 특히 ▲정치 ▲사회 ▲경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분야의 경우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 '주력산업 분야에서의 노동력 부족' 등과 연결된 것으로 응답했다. 정치·사회에서는 각각 세계 지정학적 리스크'와 '불평등으로 인한 분열 및 갈등' 등과의 관련성이 확인됐고 '필수 식량자원의 고갈' 등 환경에 대한 연관성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 3대 리스크 요인 지표별 순위. ⓒ한국경제인협회
    ▲ 3대 리스크 요인 지표별 순위. ⓒ한국경제인협회
    리스크 요인별 대응의 시급성 순위를 조사한 결과 ▲인구구조 변화 ▲성장잠재력 둔화 ▲노동력 부족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등의 순서로 시급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했다.

    상대적으로 기술분야에서는 리스크의 시급성에 비해 기업의 준비가 적극 이루어졌다고 응답했다. 25개 리스크 요인에 대한 준비 정도 평가에 대해서는 ▲성장잠재력 둔화 ▲원자재 수급난 ▲정보 유출·오남용 ▲거시경제 불확실성 확대 ▲노동력 부족의 순으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응답한 기업의 약 70%는 정치·경제·사회·환경 분야에 대해 중앙 정부 및 국제기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부나 국제기구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이유에서다.

    한경협은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위기 시대 효과적인 리스크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강화를 대안으로 제언했다. 최근 리스크는 대내외적으로 수많은 요인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발생하는 만큼, 개별 주체 차원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역할 분담 등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는 목소리다.

    한경협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의 사내 저출산 대책에 대한 세제혜택, 공급망 재편을 위한 리쇼어링 지원 등 적절한 인센티브 시스템의 구축도 필요하다"면서 "기업 내부적으로도 효과적 모니터링 및 대응을 위해 최고리스크책임자와 같은 전담 조직 신설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