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S버스회사에 다니는 임원 A씨는 연봉이 5억원에 육박한다. 누가 보면 엄청나게 수익을 올리는 소위 '잘나가는'는 회사를 다니는 것으로 생각하겠지만, 회사는 매년 적자에 허덕인다. 그동안 쌓인 적자 규모만 120억원에 이를 정도니 망하지 않은게 신기하기만 하다.
그런데 회사가 문을 닫을 일은 없다. 매년 생기는 적자폭만큼 서울시가 지원금으로 충당해주기 때문이다. 애초에 버스 환승에 따른 수입 감소, 유류비 상승 등을 고려해 혈세를 쪼개 지급하는 돈이지만 S버스회사 입장에서는 얼렁뚱땅 임원들에게 억대 연봉을 주는데 돌려 써도 마르지 않는 '눈먼돈'인 셈이다.
-
서민들의 교통수단인 버스 운영을 위해 써야할 서울시 버스재정지원금이 엉뚱한 사람들만 배를 불리고 있다.
서울시가 시의회 남재경(한) 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가 버스회사에 지급한 지원금은 지난해만 290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53%나 증가했다. 또 올해는 지속적으로 유류비가 상승함에 따라 이를 훨씬 뛰어넘은 36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2004년 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버스회사에 투입된 금액만 1조5000억원에 육박한다.
천문학적인 자금이 투입됐지만, 모든 돈이 버스회사 운영에 꼭 필요한 곳에만 쓰여지진 않았다.
시가 분석한 결과 66개의 서울시 보조금 지원대상 버스업체 중 단 3곳을 제외한 63개 업체가 운송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임원들의 평균 연봉은 1억 원을 초과했다.
심지어 임원 1인의 연봉이 5억 원을 넘는 곳도 있었다. 임원 평균 연봉이 2억 원 이상 ~ 5억 원 미만인 곳이 2곳, 1억 원 이상 ~ 2억 원 미만인 곳도 25개 업체에 이른다.
쉽게 말해 회사 적자를 혈세로 메우고 있으면서 내부에선 돈잔치를 하는 것. 엄청난 적자를 기록하고도 직원 성과급을 과다하게 책정해 사회적 무리를 일으킨 공기업들의 사례와 비슷하다.
더 큰 문제는 이를 수년동안 허술하게 관리한 서울시의 태도에 있다. 때문에 보조금 사용을 마음대로 하는 버스회사를 관리, 통제할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남재경 의원은 "버스회사의 방만한 운영이 확인된 이상 적극적인 방법을 동원해 시민의 혈세가 낭비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버스회사는 보조금에 의지한 안일한 운영에서 벗어나고 시는 버스 서비스 질의 향상과 비용절감을 이뤄낼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감독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