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목포 고속철도 빨리 건설해야" -
남해안 지역 주민들이 한 목소리로 <남해고속철도> 건설을 요구하고 나섬에 따라 정부의 반응이 주목된다.
<목포상공회의소>와 <부산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11일 오후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태평양을 열어 장보고의 길을 가자> 대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 발표자들은 <남해안개발>은 동북아 경제권 시대에 시급한 국가적 프로젝트라고 선언하고, 가장 우선 해야 할 사업으로 <남해고속철도>를 건설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행사는 <목포상공회의소>가 주최했으나, <부산상공회의소>가 공동 주최자로 나서는 등 남해안에서 호남과 영남의 두 중심도시인 목포와 부산이 함께 나선 것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이 날 토론회에는 박준영 전남도지사, 주영순 새누리당 국회의원, 정종득 목포시장, 배덕광 부산해운대구청장, 김호남 목포상의회장, 조성제 부산상의회장, 고석규 목포대총장, 박경일 해군제3함대사령관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이건철 전남개발연구원장, 김호남 목포상의 회장, 김두규 우석대교수.김익두 전북대 교수, 이종화 황해권발전연구원장, 윤명철 동국대 교수 등이 발표 및 토론자로 나섰다.
-
<전남발전연구원>의 이건철 원장은 남해고속철도의 필요성을 이같이 말했다.“<남해안고속철도>는 남해안지역 도시에만 거주하는 1,000만명 이상 거주자는 물론,
남해안의 본격 개발에 따라 급증할 동․서간 인-물적수요의 가장 효과적인 대량 수송수단이다.
이는 동서화합을 위해서나 지역개발을 위해서나 바람직한 일이다.
목포 ~ 부산간 297km에 이르는 남해고속철도는 옛 동아시아 해상무역 <실크로드> 부활의 전환점으로 기능할 것이다.”.
<남해고속철도>가 건설되면 목포~부산간 소요시간이 현재 7시간 대에서 2시간 대로 크게 줄어든다.
게다가 호남고속철도-경부고속철도와 연결돼 한반도를 둘러싸는 [순환형 고속철도망]을 구축하는 효과를 낳는다.이같은 순환 고속철도는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드는 것은 물론이고, 국민통합의 핵심인 영․호남 상생발전을 촉진시킬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남해고속철도는 또 수도권 + 충청권으로 구성되는 중부권(3,000만명)의 대극(大極)으로서 남부권(1,200만명)을 개발, [2극(二極)경제권]을 이룩할 것으로 전망된다. -
‘80년대 이후 모든 정권이 영․호남 교류 촉진과 국가균형발전을 국토개발정책의 주요 이슈로 발표했었지만, 실현성은 저조했다.이건철 원장은 균형발전의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 취약한 교통망을 꼽았다.
"영~호남을 잇는 교통망은 일제시대 때 개통된 <경전선> 철로,
1970년대 개통된 부산 ~순천간 <남해안고속도로>,
88올림픽을 계기로 닦은 대구~광주간 <88고속도로>(1981~1984),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계기로 2012년 건설된 <영암~순천간 고속도로>에 불과하다.
동서를 잇는 교통망은 <영암~순천간 고속도로>를 제외하면 <88고속도로> 이후 30년 가까이 제자리걸음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이와 함께 이날 토론회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정책이 지나치게 자동차위주로 발전해온데 대한 비판이 있었다.
선진국 교통정책은 19세기부터 고무바퀴(도로)보다는 쇠바퀴(철도) 중시 정책으로 바뀌었으나 우리나라만 지나치게 도로의존율이 높다는 것이다.■ 영국, 프랑스 등은 철도 연장이 도로 연장 보다 높고,
일본도 도로연장과 철도연장이 비슷하다
■ 도로가 가장 발달한 미국도 도로연장이 철도의 2.3배에 불과
■ 우리나라만 [도로연장이 철도의 30배]
고무바퀴에서 쇠바퀴로 패러다임 전환 시급 -
-
<조선일보> 관련 기사 전재
[Why] [김두규 교수의 國運風水(국운풍수)]
곤륜산으로 웅비(雄飛)하는 형국의
목포…中·러 진출의 허브로
김두규 우석대 교양학부 교수
-
2011년 어느 날 시인 김지하 선생이 해운대 동백섬과 부산을 풍수형국으로 어떻게 보는지를 물었다.
이렇게 특정한 장소를 지목할 경우에는 직접 현장을 밟아야 한다.
동백섬을 다녀와 김 시인에게 우편으로 답사기를 보내드렸다."그곳은 영구망해(靈龜望海)입니다.
신령스러운 거북이 멀리 바다를 바라본다는 뜻이지요.
동백섬 자체가 거북이 머리처럼 생긴데다, 그 표면이 거북이 등처럼 쩍쩍 갈라진 바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바다를 향해 머리를 내밀고 있기에 그렇게 이름 지은 것입니다."
그로부터 1년 후인 2012년 여름.
폭우가 며칠 이어지던 어느 날에 김 시인이 산촌에 있는 필자에게 전화로 물었다."본래 내 고향은 목포야.
어린 시절 원주로 이사를 갔지.
목포 앞바다에 압해도라는 섬이 있어.
압해도를 염두에 둔 목포 형국을 풍수에서는 어떻게 보는지 의견을 말해주오."
해운대 동백섬과 달리 목포 압해도는 대중교통으로 답사하기가 어렵다.
산촌에서 텃밭을 가꿀 때 사용하는 낡은 트럭을 몰고 압해도로 들어갔다.
김 시인에게 우편으로 답사 내용을 보내드렸다."그곳은 비룡상천(飛龍上天)이자 회룡고조(回龍顧祖)입니다.
용이 하늘로 날아오른다는 뜻이자, 곤륜산을 출발한 지맥이 목포에 도달하여 다시 곤륜산으로 웅비(雄飛)한다는 뜻입니다.
목포 인근과 압해도의 마을 지명에 [용(龍)]자가 들어간 곳이 많습니다.
용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뜻입니다.
압해도는 용의 머리, 목포시는 용의 몸통, 특히 유달산은 용의 등 쪽에 솟은 비늘, 전남도청사 일대는 용의 꼬리에 해당됩니다.
목포 인근에 무안국제공항이 있는 것도 비룡상천과 무관하지 않습니다."며칠 후 김 시인이 다시 전화로 목포를 [비룡상천]이라 말하면 되었지,
왜 또 [회룡고조]를 덧붙였는지 그 이유를 물었다."풍수논리에 좌향론이란 것이 있습니다.
등을 기대고 앉아있는 쪽이 좌(坐)이고, 마주 보는 쪽을 향(向)이라고 합니다.
좌(坐)는 과거를, 향(向)은 미래를 이야기합니다.
회룡고조가 지향하는 미래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김 시인은 "그렇다면 해운대의 [영구망해]와 목포의 [회룡고조]는 그 지향하는 바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인가?"라고 거듭 묻기에 "모두 바다를 근거로 한다는 점에서 같지만 바다로 나아가는 것과 곤륜산으로 돌아가는 것에서 차이가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답변을 듣던 김 시인이 결론 삼아 총평했다.
-
"[영구망해]는 [미국이 지배하는 태평양을 넘겨본다]는 것이고…
[회룡고조]에서 말하는 조(祖)란 전설의 땅 곤륜산을 말하겠지.
아득히 먼 옛날 우리 조상들이 출발한 땅일 수도 있겠고.
그 조상의 땅으로 되돌아가는 거야.
중국과 러시아의 땅으로.
[창조적 복귀]이자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서.
세계 경제의 중심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이동하면서 그 허브가 장차 우리나라가 된다는 뜻이야."이런 대화가 있은 지 1년이 흘렀다.
이달 4월 11일 부산상공회의소와 목포상공회의소 공동 주최·주관으로 "태평양을 열어 장보고의 길"이란 대토론회를 개최한다는 초청장이 왔다.
여기에 김 시인이 어떻게 관여를 했는지 알 수 없으나 분명 [보이지 않는 손]으로 작동한 것 같다.
동아시아 최강국 고구려 이후 동아시아 해상강국을 꿈꾸었던 <장보고>를 두 해양 도시가 주제로 삼은 것이다.
[영구망해와 회룡고조]는 장보고의 정신으로 바다를 장악해야 우리 민족이 미국·중국·러시아와 어깨를 겨루는 강국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이다."언제나 진정한 세계 강국은 바다를 지배하는 나라였다"고 말한 독일의 지리학자 라첼(F Ratzel)의 명언은 지금 우리에게 절실한 말이다.
<조선일보> 2013.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