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재수첩] “업권 간 칸막이를 없애고 핀테크산업을 키우겠다”(신제윤 금융위원장)

    “금융시장이 역동성을 갖출 수 있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일일이 관여하던 금융감독 관행을 바꾸고, 자율과 창의를 존중하겠다”(진웅섭 금융감독원장)

    금융당국 수장들이 신년사를 통해 내놓은 새해 계획이자 약속이다. 어려운 경영환경이 계속되면서 수익성 악화로 고초를 겪고 있는 금융회사들의 경쟁력 강화를 돕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금융사 CEO들의 신년사에도 하나같이 ‘수익성 제고’라는 주제가 들어가 있다. 점포를 줄이고 인력을 감축하는 등, 진작부터 몸집 줄이기에 나선 형국인 만큼, 이 같은 내용의 신년사는 새삼스럽지도 않다.

    안타까운 점은, 신년사를 내놓은 금융당국과 각 금융사 수장 중, 누가 하나 ‘통렬한 반성’의 메시지를 담은 사람이 없었다는 점이다. 반성은커녕 ‘죄송하다’는 말 한마디 조차 그 누구도 하지 않았다.

    돌이켜보면 2014년이 어떤 해였던가? 카드사 개인정보유출사태로 시작해 모뉴엘 사태와 서금회 논란으로 마무리된 한 해 아니었던가. 

    국민·농협·롯데카드의 개인정보유출사태로 인해 금융거래를 하는 대한민국 국민은 거의 대부분 피해를 입었다. 신용카드를 이용하지 않은 사람조차 은행에서 발급한 체크카드 등으로 인해 그 정보가 유출됐다. 심지어 당시 최수현 금융감독원장까지 “내 정보도 유출됐더라”고 말했을 정도니, 일반 소비자들은 더 말할 필요도 없었으리라.

    이 사건이 진정되기도 전에 국민은행장과 지주사 회장이 갈등을 일으키는 촌극이 발생했다. 이 다툼 뒤에는 낙하산 CEO와 권력화된 사외이사들 간의 갈등이 있었다. 이들의 다툼은 결국 두 수장의 동반 퇴진과 사외이사들의 집단 사퇴라는 비극으로 끝났다.

    이 같은 ‘막장 드라마’가 잊혀지기도 전에, ‘보이지 않는 손’, ‘내정설’ 등의 논란이 들끓었다. 우리은행에선 후보로 거론되지 않던 인물이 갑자기 행장에 내정돼 ‘서금회 논란’이 일었고, 하영구 신임 은행연합회장의 내정은 ‘기자들은 아는데 은행장들은 모르는’ 웃지 못할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관피아를 없앴지만 관치금융은 계속 남아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된 부분이다.
    상황이 이런데, 금융당국과 금융사 수장들 중 그 누구도 ‘죄송하다’고 말한 사람이 없다. 당국의 수장들은 핀테크와 자율성만을 운운하고, 금융사 수장들은 그저 돈 이야기 뿐이다. 그러면서 무작정 ‘파이팅’만 외쳐댄다.

    워낙 많은 사건사고와 논란이 일었던 탓에, 국민들의 한국 금융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파이팅’을 외치기에 앞서 ‘죄송합니다’는 말을 먼저 했어야 한다. ‘죄송합니다’라는 말 뒤에는 ‘다시는 그러지 않겠습니다’라는 말이 관용적으로 붙기 마련이다.

    사과 한 마디가 그토록 어렵다면 재발방지 또한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국민의 믿음을 얻기란 어려운 일일 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