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원·달러 환율, 달러당 1203.0원 마감내년 2분기 1300원선 돌파 전망도 나와
  • ▲ 관련사진.ⓒ뉴시스
    ▲ 관련사진.ⓒ뉴시스

     

    미국의 금리인상 이후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선을 넘어서는 등 달러 가치가 치솟자,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내년 2분기 원·달러 환율이 1300원 선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단기간의 급격한 상승은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고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도 있어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3일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3.9원 오른 1203.0원으로 장을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3월 10일(1203.5원) 이후 9개월여 만에 최고치다. 

    22일 원·달러 환율은 올해 3월 이후 처음으로 장중 1200원을 돌파했고, 23일은 종가 기준으로도 1200원선을 넘어섰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기 직전인 지난 14일부터 8거래일간 36원 올랐다. 달러당 1167원(13일 종가)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1200원대가 됐다. 원화 가치가 3.1% 떨어진 셈.

    지난 15일 미국 연준이 정책금리를 추가 인상한 데 이어 내년에 3차례 더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달러 강세가 두드러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감세·재정확장 정책이 미국 경기를 회복시킬 것이라는 기대감도 달러 강세의 배경이 되고 있다. 

    이같은 달러 강세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해외 투자은행(IB)들의 원·달러 환율 전망치의 중간값은 내년 1분기 1200원, 2분기 1203원, 3분기 1210원, 4분기 1208원 등 1200원 선을 웃돈다.

    모건스탠리는 내년 2분기에 원·달러 환율이 1250원으로 올라서고 3분기 1275원을 거쳐 4분기에는 1300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씨티그룹도 내년 1분기 1200원, 2분기 1209원, 3분기 1203원 등 3분기까지 줄곧 1200원 선을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 외환 당국이 이를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당국의 미세조정(스무딩 오퍼레이션)이 달러 강세를 막기엔 역부족인데다 미국 재무부의 '관찰대상국' 지정 등 감시의 눈길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환율 상승은 국내 거시경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 환율이 오르면 기업 수출에는 호재로 작용하지만 수입물품 가격을 높여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부작용도 있다. 

    그동안 우리 경제 성장을 주도하던 수출은 유가 급락, 세계 경기 침체 등으로 지난 7월까지 19개월 연속 마이너스 증가세를 보였다. 8월 20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9월과 10월 감소세를 다시 감소세를 보였고 11월에는 2.7% 늘어나는 등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환율이 오르면 수출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산업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 상승하면 한국 제조업 내 상장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0.05%포인트(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출 증대 효과는 예전만 못할 것으로 보인다. 노골적인 보호무역주의를 시사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등장 등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경향 강화로 환율이 오르더라도 각종 장벽에 막혀 수출이 개선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올해 1∼9월 중 보호무역주의 조치에 따른 한국의 직·간접적 수출 차질 규모는 전체 통관 수출의 0.7%(24억 달러)에 달했다.

    예전보다 수입물가 상승의 부정적인 영향도 줄었다. 과거 환율 상승은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서민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유가 상승기에는 공공요금 등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불러오기도 했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목표인 2%에 계속 미달, 디플레이션 우려마저 나오는 상황에서 수입물가 상승이 꼭 나쁘지만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이런 복합적인 영향을 감안해 미국 금리 인상 이후 환율 상승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시장에 이상 징후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