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만성 C형 간염 집단감염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면서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C형 간염바이러스는 국내 유병률이 1% 내외로 알려져 B형 간염바이러스보다 크게 낮지만, 만성 C형 간염은 치료를 미루면 간경화·간암 등 더 심각한 간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환자의 최대 56%가 20~25년 안에 간경병증을 동반하며, 비감염자 대비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20배 이상으로 높다.

C형간염은 미국, 일본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유병률이 1위인 간염이다. 선진국들은 전염병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고 통제도 잘했지만, C형간염은 늘 유병률이 2%를 넘는다. 이는 C형간염의 감염경로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문신, 피어싱, 의료기관의 시술 등 의인성 감염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의인성 감염은 전 사회적인 발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는 것들이다. 오염된 물, 식수, 성관계 등 다른 경로를 통해 감염되는 타 전염병들은 나라가 발전하고 위생상태가 나아질수록 감소하지만, 의인성 감염이 많은 C형간염은 그렇지 않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만성 C형 간염의 심각성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재로 진단을 받고서도 치료받지 않고 방치되고 있는 환자가 있어 문제이다. 

2014년 통계청자료에 따르면 간 질환 및 간암으로 인구 10만 명당 35.9명이 사망하였다. 서양은 알콜성 간질환이 많은 반면 우리나라는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만성간질환이 대부분이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A형 간염바이러스(HAV)에 의한 급성간염이 늘어나고 있지만 백신도 있고 만성화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불행 중 다행이라고 할 만하다. 그에 반하여 만성화에 따른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의 주범은 B형과 C형 간염바이러스(HBV, HCV)에 의한 것인데 B형은 간염 백신이 있는 반면 유감스럽게도 C형 간염백신은 아직까지 개발 되어 있지 않다. 

C형 간염은 주로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혈액이 정상인의 상처 난 피부나 점막, 혈액을 통해 전염된다. 최근에 문제가 된 주사기 재사용, 소독하지 않은 침을 사용한 피어싱 및 문신, 성적 접촉 등이 주요 경로이며, 산모를 통해 태아에게도 전염될 수도 있다 (모자간 수직감염). 

이러한 직접적인 접촉 외 간접적인 접촉 경로로 감염되는 경우도 많은데, 현재 전염경로에 대해 공신력 있는 자료나 공식적으로 발표된 자료는 없다. 국가적으로 C형간염에 대해서 좀 더 공신력 있고 구체적인 전염경로를 파악해야한다.

다행이 C형 간염 치료제가 개발되어 약물치료의 완치율이 96%에 이르지만 만성 C형 간염 치료제는 보험적용이 되어도 약값이 매우 비싸고, 약물로 인한 부작용이 많다. 또한 대부분 감염 초기에 증상이 없어 감염된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17.7%에 달한다고 한다. 감염 후 항체가 생기는 기간은 평균 15주에서 길게는 1년간이 걸릴 수 있어 감염은 되었지만 진단이 안 되는 비율이 높다. 

질병에 따른 고통은 말할 것도 없이, 경제적 이유에서라도 백신이 없는 현재로서는 무조건 예방이 최선이다. 

의료기관에서는 반드시 1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고, 문신이나 피어싱 등 침이나 바늘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반드시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한다. 면도기, 칫솔, 손톱 깎기 등도 혈액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함께 사용하지 말 것을 권하며, 콘돔을 사용하여 성관계에 따른 전파를 차단해야 한다.

만성 C형 간염은 백신이 없으므로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고, 이미 감염된 사람들은 빨리 진단을 받도록 해서 감염 경로를 차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감시 체계 구축 및 모니터링이 적극 강화돼야 할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 C형 간염을 전수 감시 대상 질환으로 전환하고, '만성 C형 간염 예방 및 관리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 C형 간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B형 간염에 비해 경험과 지식이 많이 축적되지 않아서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국가검진 도입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C형간염은 전염병이고 완치가 되는 병이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검사를 시행하여 감염의 전파를 차단하고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를 해야 한다는 데에는 모두 공감할 것이다. 단, 이에 대한 사회 경제적인 평가를 통한 고 위험군 선정 및 적극적인 지원에 대한 검토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적십자병원 병리과장(Ph D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