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지분 전량 처분하며 지주사 금융회사 보유 금지 공정거래법 논란 해소마땅한 인수 후보군 없는 상황서 매각 이후에도 SK증권 주시 가능성 높아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SK㈜가 보유 중인 SK증권 지분 전량(10.04%)에 대한 공개 매각을 추진한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금융회사 주식 소유 금지 규정에 따라 현재 보유중인 SK증권 지분을 오는 8월까지 전량 처분해야 하는 SK㈜ 입장에서는 공개매각이라는 정공법을 선택한 것으로, 업계에서 제기됐던 의혹 해소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일 오후 SK㈜는 보유 중인 SK증권 지분 매각 추진을 위해 매각 주간사를 선정했다. 매각 주간사는 삼정KPMG가 맡는다.


    이번 매각 추진은 공정거래법상의 지주회사 행위제한 규정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다.


    SK증권 지분 10%를 보유한 SK C&C가 2015년 SK㈜와 합병하면서 SK㈜는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금융회사 주식 소유 금지 규정에 따라 올해 8월까지 SK증권 지분 전량을 처분해야 한다.

    SK는 그동안 SK증권 매각을 두고 다양한 방안을 두고 고민해왔다.


    이번에 공개매각을 택한 결정적 이유는 그동안 그룹 내부에서 유일한 금융사인 SK증권을 계속 보유할 것이라는 관측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룹과 증권 관계자 모두 그룹 차원에서 SK증권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해 왔고, 방계회사를 통한 SK지분인수, 공정거래위원회 소명을 통한 매각 2년 유예 등의 방안도 적극 검토해왔다.


    반면 이같은 방안은 자칫 지주사들에 대한 감시와 특히 일감 몰아주기 규제강화에 나선 현 정부의 기조에 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가 중간금융지주회사 도입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SK그룹의 SK증권 지분 전량처분을 결정한 계기로 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내부 계열사, 방계계열회사 매각이나 공정위 소명을 통한 매각유예는 현 상황에서 오해를 살만한 소지가 있어 제3자 매각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SK㈜ 관계자 역시 "공정거래법을 충실히 이행을 고심한 끝에 공개 경쟁 입찰이라는 투명한 방법을 택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SK㈜의 SK증권 공개매각 선언 이후를 내다보고 있다.


    우선 SK㈜가 SK증권을 공개적으로 시장에 내놓은 것은 매각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증권업계에서는 SK증권은 SK㈜의 금융창구로 인식돼 온 만큼 SK 브랜드를 떼어낼 경우 경쟁력이 낮아질 것이라고 판단해왔다.


    또 SK증권의 자기자본이 4000억원에 불과해 초대형 IB로 도약하려는 대형 증권사 입장에서는 큰 매력이 없다는 분석도 약점으로 꼽혀왔다.


    반면 10%의 지분 인수만으로 경영권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은 매물 가치로서 강점으로 꼽힌다.


    시장이 판단하는 SK증권 10%의 매각 가격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해 최대 1000억원 이하로 예상하고 있다.


    물론, 지배력 강화를 위해서는 추가 비용투입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고민거리가 될 수 있지만 자기자본 4233억원 수준의 증권사를 인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 매력도가 높다.


    다만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SK증권 인수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온 곳이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30일 미래에셋대우가 SK증권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양측모두 이를 부인했으며 특히 미래에셋대우가 적극적으로 사실확인에 나서며 인수 가능성을 차단했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회사가 장기적으로 자기자본을 높여야 하는 것은 맞지만 자기자본 4000억원 수준에 불과한 SK증권을 인수할 필요성은 없다는 것이 내부 방침"이라고 말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SK증권 인수 가능성을 갖고 있다.


    현재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자기자본 3조원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는 메리츠종금증권은 단시간에 몸집을 키우는 방안으로 M&A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다만 메리츠종금증권이 자기자본 3조원 확보를 위해 필요한 금액은 7000억원 수준인 반면 SK증권의 자기자본이 4233억원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SK증권 인수 이후에도 추가적인 자본확충 계획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SK증권의 인수 매력도를 확신하기 힘들다.


    메리츠종금증권 관계자는 "매물로 나온 회사의 가격과 M&A 이후 시너지를 면밀히 검토해 회사의 실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 나오면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증권업계 현 사정을 감안할 때 업계는 SK㈜가 SK증권의 공개매각을 진행하되 그룹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는 대상자를 최종 선택할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다.


    SK㈜이 SK증권 매각의 전제로 구성원의 고용 안정과 함께 향후 SK증권의 성장 및 발전을 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동안 그룹측은 인수자를 찾는 과정에서 임직원 고용승계에 높은 비중을 가져왔다.


    이는 SK㈜가 SK증권을 단순 매물로 보는 것이 아닌 매각 이후에도 SK증권을 주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SK㈜가 물밑에서 매각을 타진해오며 PEF를 우선순위로 꼽아온 것 역시 SK증권의 존재 자체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한 방안으로 볼 수 있다.


    PEF 외에 마땅한 인수 후보군도 없다는 점도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한다.


    결국 PEF 매각이 현실로 나타날 경우 그룹의 신뢰도 유지는 SK㈜의 과제로 남게 된다.


    지주회사 관련 요건을 강화하는 단계에서 그룹과 손이 닿을 수 있는 PEF에 매각할 경우 진성매각에 대한 논란이 점화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SK㈜는 향후 매각주간사를 통해 잠재 인수 후보들에게 투자설명서(IM)을 배포할 계획이며, 이후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후보들 중 우선협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우선협상자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금융위원회의 대주주 변경승인이 완료되면 이번 지분 매각 절차가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