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미국의 금리 인상은 정책 당국도 시장도 다 예상한 내용"이라며 "오늘 금리 인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정부의 제이(J)노믹스 1기를 이끌 김 부총리는 이날 뒤늦은 취임식을 마친 뒤 이같이 말했다. 

제이노믹스가 11조원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한 소득주도 성장을 강조하는 와중에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우리나라 역시 기준 금리 인상 압력을 받게 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정책금리를 연 1.0~1.25%로 인상했다. 

연준은 지난 3월 정책금리 인상에 이어 올해만 두번째 금리를 인상해 연말께 추가 금리 인상이 이뤄진다면 우리나라와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지게 된다. 

김 부총리는 "미국 금리 인상은 확률로는 100%, 낮아도 95%로 예측해서 시장에도 이미 반영됐다"면서 "정책당국도 충분히 준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가지 있을 수 있는 각종 시나리오에 대비한 시정 안정화 조치도 준비했다"면서 "앞으로 시장 영향이 제한적이므로 부정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향후 금리나 국제 금융 동향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및 통화당국과 충분히 협조하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금리인상은 제가 언급할 일이 아니고, 한은과 금융통환위에서 결정할 일이어서 제 언급은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앞으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 상황이 더 뚜렷하게 개선될 경우 통화 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면서 "이런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사실상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것이었다. 

다만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자리하고 있는 만큼 금리 인상에는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압도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가계부채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김동연 부총리는 "가개부채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모으고 있다"면서 "8월말까지 종합대책을 만들어 발표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