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 각기 다른 업무를 통해서 포스코와 협업같은 공간에서 동일 업무하며 직원 신분 갈리는 경우 없어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비정규직 문제를 놓고 권오준 포스코 회장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포스코 전 직원수와 별반 차이없는 협력사 직원들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선 채용 규모를 확대하며 정책 기조를 맞추고 있지만, 비정규직 문제는 향후 정부의 정확한 지침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재계간담회 이후 정부가 비정규직 전환 문제를 언급하긴 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정해주지 않아 협력사 비중이 높은 포스코는 속앓이를 하고 있다.  

    올 1분기 공시 기준 포스코 기간제 근로자(비정규직)는 304명으로 전 직원의 2%에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포스코 협력업체 직원수는 전 직원 1만6345명과 비슷한 수준인 1만5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만큼 이들 모두를 포스코 직원으로 받아들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때문에 다른 기업들은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포스코는 아직 요지부동이다. 협력업체 규모가 워낙 방대한 탓에 정부의 정확한 지침이 내려지기전까지 신중을 기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비정규직 문제에 속 시원한 답을 내놓지 못하는 포스코의 속사정도 있다. 포스코에는 여러 협력업체가 있지만 이들이 포스코 정직원들과 함께 하는 업종은 없다. 또한 같은 공장 같은 라인에서 동일 업무를 하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나뉘는 경우도 없다. 협력사들 모두 포스코와 관련된 각자의 업무가 있다는 의미다.

    일부 대기업 정직원과 협력업체 직원이 동일한 장소에서 같은 업무를 하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눠지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각기 다른 업을 맡고 있는 협력업체까지 정규직 전환에 포함시키기는 어렵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한 협력업체들도 각자 사업장이 있고 사장이 있는 만큼 이들 모두를 포스코 직원으로 껴안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간담회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첫 대면한 권오준 회장은 비정규직 문제, 일자리 확대 등 현 정부의 일자리 정책 기조를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간담회 직후 늦은 시간임에도 권오준 회장은 긴급 본부장 회의를 열어 일자리 확대와 비정규직 문제를 언급했다. 

    당시 권 회장은 "문 대통령이 기업별 애로를 미리 파악해 일일이 관심을 표명했고, 국내 산업 육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의지가 매우 강력해 깊은 감명을 받았다"며 "포스코도 새로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포스코 직원들에게 일자리 나누기, 비정규직 전환 문제에 대해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권 회장은 "일자리 나누기나 비정규직 전환 문제, 1차뿐 아니라 2,3차 협력기업과의 상생협력활동을 눈앞의 비용으로만 인식하지 않길 바란다"며 "산업 생태계 전반에서 우리 경쟁력 향상 방안으로 사고를 전환해 적극 검토하는 것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같이 권 회장이 정부 정책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음에도, 내부적으로는 아직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포스코는 우선 하반기 채용 규모를 확대하며 문재인 대통령과의 약속 지키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묘책이 떠오르는 않는 비정규직 문제는 잠시 미뤄두고 일자리 확대로 정부 정책에 발맞춰 간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아직까지 정확한 채용인원은 정해지진 않았지만, 예년에 비해 1.5~2배 정도 사이가 될 전망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비정규직 전환문제는 그 범위가 애매모호하기에 지금 당장 답을 내놓기에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우선 채용 규모부터 확대해 정부의 일자리 정책 기조에 발맞춰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