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인구 14% 초과, 개인연금 가입률 전체 17%에 그쳐보험연구원 "세제혜택 등 개인연금 활성화 위한 제도 마련돼야"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보험사들이 100세 시대에 대비해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한 다양한 연금 상품을 내놓고 있다. 고객 니즈를 반영한 특화 상품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모양새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흥국생명은 고혈압이나 당뇨 질환자 등 유병자에게 더 높은 연금액을 제시하는 특약을 오는 9월 22일까지 독점 판매한다.

    고혈압이나 당뇨 등의 질환을 가진 만성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위험률을 개발하고 연금액 계산에 활용한 점의 독창성을 인정받아 업계 특허권인 배타적사용권을 따냈다.

    보험사들은 연금보험, 연금저축, 변액연금 등 개인연금 상품뿐 아니라 상품에 특별약관을 부가하는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ABL생명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연금개시 후 계약별 자산배분시스템을 통해 보증비용 없이 최저연금액을 보증하는 무배당 실적배당 연금전환 특약을 선보인 바 있다.

    개인연금상품도 획일화된 상품이 아니라 개인별 은퇴시점에 맞춰 정해진 자산배분 전략을 담은 진화한 상품이 나오고 있다.

  • ▲ ⓒABL생명 홈페이지 캡처
    ▲ ⓒABL생명 홈페이지 캡처

    NH농협생명은 업계 최초로 금리연동형으로 연금개시 시점 유지자에 한해 기간별 최저보증을 상향하는 보증옵션 부가(100~150%)한 상품을 선보였다.

    미래에셋생명은 연금계좌와 투자계좌를 분리 운영하는 방식을 도입한 변액보험 상품으로 독창성과 유용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푸르덴셜생명은 오는 4월 상품 출시를 목표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자동재배분하는 변액연금 상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선 연금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지만 가입은 미미하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보험개발원 개인연금가입현황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민 약 884만명이 개인연금보험에 가입돼 있으며 인구 대비 가입률은 17.1% 수준이다.

    따라서 연금을 통한 장수리스크 헷지 등 위험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수요 맞춤형 상품개발을 통해 노후준비 활성화를 이끄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연금 성격과 도입 취지를 고려한 정책 추진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적연금 세제의 적정수준을 살펴보고 연금세제 등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3년 세재개편으로 연금세제는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었으며 공제에 적용되는 납부액 한도는 연 400만원에서 퇴직연금을 포함해 700만원으로 증가했다.

    강성호 보험연구원 사회안전망연구실 실장은 “우리나라는 작년 8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진입했다”며 “개인연금보험은 공적연금을 보충하는 국민의 노후 소득 원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양한 연금상품 개발과 더불어 개인연금 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 적용 등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