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해방군 사이버부대 지원… '보안-기술' 빼내기 전력이 실체LGU+, 5G 장비 화웨이 선정 유력… 정부 철저한 모니터링 '절실'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이동통신사들의 5G 장비 선정을 놓고 화웨이에 대한 보안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그 실체 찾기가 한창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5G 네트워크 구축 관련 국민 보안 우려를 해소하고 이통사들의 효과적 보안점검을 지원하기 위해 산학연 보안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5G보안 기술자문협의회'를 구성했다.

    협의회는 산학연 보안전문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 한국인터넷진흥원, 과기정통부 등 20명 내외로 구성됐다.

    화웨이도 그 실체를 검증하자며 5G 장비 보안 표준 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5G 장비의 보안 표준을 정해, 보안 우려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만들자는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화웨이 미국 법인의 최고법인책임자(CSO)인 앤디 퍼디는 최근 "모든 국가는 공통 표준을 설정하고 산업 표준 모범 사례를 채택하고 위험 완화 절차를 구현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공급업체를 선택하는 객관적인 기반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실체는 아직 5G 환경에선 찾아야 할 숙제지만, 이전 환경에서의 '스파이 활동'들이 이미 그 실체라는데 업계가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03년 미국 네트워크 장비업체 '시스코(CISCO)'는 "화웨이가 시스코의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을 무단복제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당시 화웨이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발뺌했지만, 향후 "시스코의 소스코드를 도용해 개발했다"며 잘못을 시인한 바 있다. 

    또 2012년에는 중국 해커들이 캐나다 네트워크 장비 업체 '노텔'을 해킹해 화웨이 제품 개발에 결정적 기여를 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당시 화웨이는 노텔 장비의 설계도면은 물론 프로그램, 매뉴얼까지 그대로 복사하다시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후 화웨이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선봉'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아 왔으며, 미국 정보기관 NSA는 화웨이를 해킹하기도 했다. 화웨이의 설립자 '렌장페이(任正非)'는 중국 인민해방군 정보장교 출신이다. 이름 '화웨이(華爲)'는 "중화민족을 위해 노력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당선 직후인 2016년 12월에는 스티브 차봇 미국 하원 중소기업위원회 위원장 등 3명의 국회의원이 미국 국방부로 "화웨이가 한국에서 이동통신망 구축에 참여하는 것을 미국 안보를 위해 막아야 한다"며 "한국이 준비하는 5G 네트워크는 전자장치와 가전 등을 연결하는 IoT 육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미군이나 미국 정보시설, 외교시설 장비에 있는 데이터가 화웨이의 네트워크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굳이 5G 환경 내에서의 실체를 밝히지 않아도 이 같은 '전과'로 미국과 영국, 호주, 일본, 인도 등에서 화웨이 5G 장비를 잇따라 배제했고, 이 같은 움직임은 앞으로 계속될 전망이다.

    귀금속점을 운영하는 사장이 절도 전과가 있는 사람을 알바생으로 고용하기는 힘들다. 물론 예외는 있을 수 있지만 사회통념상 이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하물며 국가의 안위가 걸린 보안 문제와 관련해 스파이 활동을 해왔던 기업의 보안 우려 실체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 아닐까? 화웨이가 그동안 통신장비를 통해 도청과 정보유출을 했던 존재라는 점만으로도 장비업체에서 배제하는 것은 어찌보면 사회통념상 당연하다. 

    정부가 이번 협의회를 통해 실체를 못찾았다고 쳐도 그동안 논란이 일어왔던 보안에 대한 우려는 사그라들지 않는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조만간 3.5GHz 전국망 대상 5G 장비 업체로 화웨이를 선정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 차원의 화웨이 5G 장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물론, 필요하다면 장비 선정에 있어 배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