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회계법인과 스타트업·벤처 기술 플랫폼 강화 맞손탄탄한 지원체계 구축 기반 중기 상생협력 늘리고, 소재 경쟁력 확보도
  • ▲ ⓒSKC
    ▲ ⓒSKC
    SKC가 정부 기관, 글로벌 회계법인과 함께 스타트업·벤처 및 중소기업 사업실행력 강화에 나선다.

    21일 SKC에 따르면 지난 20일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난 2017년 공유인프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구축한 플랫폼에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OSP)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을 새롭게 참여시키는 동시에 지원 대상을 기존 스타트업, 벤처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확대했다.

    이번 플랫폼은 벤처·스타트업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국내 소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2017년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울산테크노파크, 선보엔젤파트너스, 울산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가 참여했다. 올해에는 3개 기관이 늘어 총 9개 기관이 참여하면서 더욱 탄탄한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은 스타트업, 중소기업이 잘 모르는 국책사업이나 정책을 알리고 대중소 기업간 상생형 협업 플랫폼을 구축하고 제도개선을 검토·지원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중소기업 지원 노하우를 살려 중소기업 R&D와 기술사업화를 돕고 자체 보유한 정보분석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지원해 중소기업의 연구·기획 역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초기 단계에 취약한 회계/세무 관련 경영 자문을 제공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살려 투자 전문기관 연계 투자지원을 검토하고 소재 산업의 글로벌 유망 트렌트 등을 공유한다. 

    시작은 SKC 스타트업 플러스 2기 공모전이다. 올해 2기 공모전에선 지원대상을 중소기업까지 늘리고 모집 분야 역시 고기능/고부가 산업용 소재 전 분야로 확대해 참여 문턱을 낮췄다. 지난해 시작한 1기 공모전에선 소재기술 스타트업 8곳을 선발해 R&D∙경영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사업화를 지원해왔다. 

    회사 관계자는 “SK그룹 차원의 이해관계자 행복 및 사회적 가치 추구를 경영전략으로 삼아 노력한 결과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 플랫폼이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과 함께 소재 산업의 생태계가 튼튼해지고 더 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