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화웨이 거래 금지명령'에 따라 구글도 안드로이드 사용 허가를 취소한 가운데, 직간접적으로 화웨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국내 이통사들이 사실무근 루머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형국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이통사 중 유일하게 화웨이 5G 장비를 쓰는 LG유플러스의 가입자들이 해당 이슈로 탈퇴를 하고 있단 루머가 돌고 있다.
지난 2014년 LTE 서비스를 진행할 당시에도 관련 장비로 화웨이를 선택했으나, '화웨이 보이콧' 이슈가 최근 크게 일자 마치 화웨이를 쓰면 무조건 해킹을 당할 것이란 우려 때문에 가입 해지가 잇따르고 있단 소문이다.
특히 주한 미군 등 국내 거주 미국인, 영국과 일본인들의 해지율이 높단 얘기도 나오고 있다.
LG유플러스 측은 "사실무근"이라며 일축했다. 아울러 가입자들이 해지시 어떤 이유를 밝히지 않고 탈퇴를 함에도, 마치 화웨이 이슈로 탈퇴를 한다는 소문은 '끼워넣기식' 주장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KT도 화웨이 보이콧에 동참할 것이란 일본 현지 보도가 나오면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일부 매체는 "한국 이통사 KT는 지난해 10월 발매한 화웨이의 스마트폰의 재고가 소진되면 화웨이 제품 판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KT 측은 보도 즉시 사실이 아니라며 대응에 나섰다. 해당 소식을 번역해 받은 국내 언론사 기사들의 정정보도 요구는 물론, 해당 내용이 최초 보도된 니혼게이자이신문에 공식적인 정정보도를 요청했다.
KT 측 관계자는 "화웨이 제품이 순조롭게 판매되고 있다. 화웨이 사태와 관련해 판매 중단 등을 검토한 적 없다"며 "니혼게이자이신문의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이와 관련 해당 언론사에 보도 정정요청을 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정정보도 전의 소식들이 일파만파 퍼지며 해당 소식들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비춰지고 있다.
SK텔레콤 역시 기간망 광전송네트워크(ONT) 등 유선 분야에서 화웨이 장비를 이용하고 있어 기존 유선 서비스 보안에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는 미국의 '화웨이 보이콧' 움직임 속 정부가 적극 나서 미국 측에 이해를 구하는 등 국내 5G 시장에 손실을 입히지 않도록 해야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미국의 요구를 일방적으로 들어주기엔 중국과의 무역 비중도 커 정부 차원에서의 명확한 입장 정리로 기업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단 지적이다.
실제 LG유플러스와 화웨이는 '보안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강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KISA(한국인터넷진흥원)과 국내전문가들을 통해 보안 관련 70여가지 가이드라인에 대한 검증을 완료했으며, 보안사고 예방을 위해 매월 CEO 주관 전사 네트워크 품질/보안 점검 회의를 운영하고 있다.
화웨이도 삼성, 노키아, 에릭슨 등 글로벌 통신장비사 중 유일하게 LTE 장비에 대해 국제 보안인증을 받은 바 있으며, 5G 장비 역시 지난해 11월 국제 인증기관에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전달, 보안 인증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 화웨이는 5G 장비 보안검증을 마치는 올해 3분기내 인증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 측은 2013년부터 화웨이 무선 장비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보안문제가 발생한 적은 한 차례도 없었으며, 경쟁사들도 화웨이 유선 전송장비를 수년간 사용하고 있으나 보안 관련 문제가 발생한 바 없단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입자 정보를 식별/관리하는 것은 모두 유선 코어망에서 이뤄지는데 LG유플러스는 코어망 장비를 삼성전자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직접 유지보수 관리하고 있어 5G 무선 기지국 장비에서 백도어를 통한 가입자 정보 유출은 불가능하다"며 "정부가 각 사업자들의 입장을 국제사회에 대변해 더이상 국내 이통사들이 해당 리스크에 휘둘리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