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위 '보호시스템, 설치 부주의' 등 전반적 관리 부실 결론"배터리 결함 직접적 원인 아냐… 정부 종합안전강화대책 환영"
-
정부가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주요 원인으로 운영 미숙을 꼽으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안도하는 모습이다.국내 배터리 업계는 이번 조사 결과로 ESS 사업이 불확실에서 벗어난 것은 물론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기대했다.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이하 조사위)가 실시한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결과를 공개했다.지난 1월 본격적으로 조사에 나선지 6개월 만이다. ESS 화재는 지난 2018년 5월 23건의 화재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14건은 충전완료 후 대기중에서, 6건은 충방전 과정, 설치·시공중에도 3건이 발생했다고 판단했다.화재 원인은 크게 네가지로 조사됐다. 배터리 보호시스템과 운영환경 관리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이다. 전반적으로 관리가 부실했다는 진단이다.다만 일부 배터리셀의 경우 제조결함이 있는 상황에서 배터리 충방전 범위가 넓고 만충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자체 내부단락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사실상 이번 조사 결과가 배터리 자체 문제보다는 운영·관리 미흡으로 결론나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함숨 돌리게 됐다.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ESS설비 전면 가동 중단 조치도 풀릴 것으로 보 향후 배터리 사업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경우 ESS 화재로 사업에 제동이 걸리면서 개점휴업 상태다.LG화학은 지난 4월 진행한 1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ESS 가동 중단에 따른 손실이 12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충당금 800억원, 판매손실 400억원을 일회성 비용으로 처리했다.삼성SDI 역시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52% 가량 줄어든 1188억원을 기록했는데 ESS 사업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업계 관계자는 "ESS 화재사고에서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며 "하반기에는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와 함께 제조·설치·운영·소방 각 단계별 종합안전강화대책이 마련된 점은 시장 초기인 ESS 산업을 한층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산업부는 ESS 주요 구성품에 대한 KC인증 강화 및 KS 표준 시스템, 운영·관리 단계 안전성을 제고키로 했다. 여기에 ESS 협회 설립 및 산업 생태계의 질적 성장을 도모키로 했다.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ESS 산업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여러 문제가 있었다"며 "하지만 이번 기준 마련 등의 정부 방안이 나온 만큼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