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압수수색'만 19회수뇌부 '붕괴' 이어 임직원 사기 '뚝' 근거 없는 무차별 수사로 사실상 '업무마비'美中 무역전쟁 속 日 경제보복까지… '풍전등화'
-
글로벌 기업 삼성이 내우외환에 시름하고 있다. 현 정부 들어 근거없는 무차별적인 수사로 사실상 업무마비 상태에 빠지며 성장 동력도 함께 멈춘 모습이다.여기에 무역분쟁 등 대형 악재까지 겹쳐 벼랑으로 몰리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직접 강행군에 나서며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정부가 채운 족쇄가 여전히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 이에 따라 재계는 정부와 정치권은 단순 불만 토로로 넘길 것이 아니라 기업활동을 적극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그룹 구성원들은 최근 들어 극식함 사기 저하와 피로 누적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 수사에 더해 미중간 무역전쟁에 일본 경제보복으로 전방위 사업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어서다.삼성 임직원들 사이에서는 지난 2016년 국정농단부터 시작해서 검찰 압수수색, 재판, 언론의 피의사실 보도 등 햇수로 4년 동안 '정신적 감옥'에서 지내고 있다는 말까니 나올 정도다.실제로 사법당국은 지난해 2월부터 삼성전자 수원 본사,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물산 등 삼성 그룹을 상대로 진행한 압수 수색만 총 19차례에 달한다.이에 삼성그룹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와 '피로도 누적'은 극에 달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일부 임직원은 같이 근무하던 선후배의 구속을 바라보면 허탈감에 정상적인 업무도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재계 관계자는 "검찰 압수수색이 이뤄지면 사실상 업무마비 상태에 빠지고 만다"며 "세계를 상대로 경쟁하는 기업입장에서 20여차례 압수수색을 받으며 경쟁에서 승리를 바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상황이 이렇자 지난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대규모 M&A(인수합병)도 제동이 걸린 상태다. 삼성은 미래전략실 해체 후 전자·전기계열사의 사업을 지원, 조율하는 사업지원T/F를 구성했다. 삼성의 전자 계열사들의 컨트롤 타워다.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건 관련 본류도 아닌 '증거인멸'의 사항으로 다수의 임원이 영어의 몸이 됐다. 사실상 업무 공백 상태에 처한 것이다.이는 오히려 글로벌 기업들과의 격차를 더욱 벌리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글로벌 기업 구글, 애플 등은 크고 작은 인수 합병에 적극 뛰어들며 미래 먹거리 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구글은 2018년부터 알려진 M&A 건수만 13건에 이르고, 애플의 경우 12건, 아마존의 경우 10건(2019년에만 6건)에 달한다. 반면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고작 3건에 불과하다. 삼성의 경영상황이 얼마나 위축돼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방증이다.이들은 이를 통해 기술패권주의 시대 경쟁에도 한 발 앞서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구글은 곧 다가올 자율주행에서도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경주 중이다. 구글의 웨이모(Waymo)는 이미 자율주행 업계 1위로 평가 받고 있으며 아마존은 알렉사를 내세워 AI 스마트스피커 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다.자율주행, AI 등은 삼성이 미래먹거리로 정하고 힘쓰고 있는 분야지만 글로벌 기업 대비 경쟁력은 점차 떨어지고 있다. 아직 두 산업 모두 태동기에 있지만 발이 묶인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사업 추진이 쉽지 않다.대외 상황도 녹록치 않다. 삼성전자의 주력 사업인 반도체 업황의 회복이 여전히 불투명한데다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세계 주요 IT업체(구글·아마존) 등은 전망보다 증가하지 않고 있는 수요로 인해 데이터센터 건립 등을 미루고 있으며 이로 인한 반도체 가격 하락은 삼성전자에 직격탄을 날렸다.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간신히 6조원대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동기 대비 56.3% 대폭 감소했다. 메모리 반도체 중 낸드플래시는 공급과잉으로 1년 새 재고량이 2배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엎친데 덮친 격으로 일본이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해 수출 규제에 나서면서 한국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붕괴될 위기에 놓였다.일본 정부는 리지스트와 고순도불화 수소, TV·스마트폰 액정에 쓰이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가지 품목을 수출규제 품목으로 정했다.이는 삼성전자의 대표 사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정밀 타격을 받은 것으로 기초 소재 수급 실패로 이어져 삼성의 공급망이 끊어질 위기에 처했다.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수 소재인 3가지 품목은 재고량이 한 두 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고갈될 경우 삼성전자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은 고사될 수 있다는 우려다.일각에선 이번 보복을 일본이 삼성전자가 메모리에서 거머쥔 패권을 비메모리에서도 확보해 반도체 양 날개를 다 갖추는 것을 견제하기 위한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온다.한국경제연구원은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한국의 반도체 생산이 30% 감소하면 한국은 약 40조원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손실을 입게 된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삼성 압박'을 촉구하면서 '삼성 역할'을 기대하는 모순적 행태까지 취하며 시장 혼란만 부추기고 있다.정부는 지난 5월 바이오 산업을 국가 주력산업으로 선정하고 적극적 지원을 약속함과 동시에 기업에 보다 많은 투자를 당부했다.삼성도 이에 앞서 인천에 부지를 마련하고 CMO 제4 공장의 증설을 논의하고 있었다. 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 김태한 사장을 비롯해 주요 경영진에 대한 수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문제가 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 자체의 진위를 밝혀 분식회계가 사실이라면 분식회계를 지시한 경영진에 대한 처벌이 이뤄지면 될 것이지만, 분식회계 여부 조차 불명확한 상황에서 '증거 인멸' 등 곁가지 사항으로 경영진을 압박하고 있어 주객은 전도된 상황이다.이런 상황이 연출되는 것은 학계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금융당국 증권위, 금융감독원 등도 같은 사항에 대해 판단을 뒤집기를 반복하고 있다.정부가 업계에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결정한 K-IFRS 회계원칙을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기업의 자율성을 배제한 채 규제의 칼날을 들이대고 있다. '경쟁 리스크'가 아닌 '정책 리스크'로 삼성 바이오 산업이 죽어간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특히 재판도 받기 전에 삼성 경영진은 물론 임직원들이 일에 집중하지 못할 정도로 '유죄'를 예단하는 수사당국의 분위기 조성은 기업 경영의 자율성을 크게 옥죄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업계 지적이다.재계 관계자는 "검찰은 수 개월째 수사를 끌며 사건의 본질을 '분식회계'에서 '승계이슈'로 변질시키고, 이를 빌미로 일부 언론과 단체들은 전방위 수사를 촉구하는 등 발목을 잡고 있지만, 정부는 대한민국 경제에 닥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삼성에 의존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이어 그는 "지금 상태는 삼성이 망하길 바라왔던 한국내 일부 좌파와 일본 강경 우파들의 바람이 결국 이뤄지는 한편의 코미디"라며 "국정농단 사태 이후 아직까지 삼성이 버티고 있는 것이 신기할 정도"라고 덧붙였다.이에 따라 재계에서는 기업이 정치권의 입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경영활동이 보장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창립 후 단기간에 끊임 없는 성장의 성장을 거듭했 왔다"며 "물론 성장의 과정에서 과오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절체절명의 삼성을 굳이 국내에서 먼저 앞장서 무릎을 굽힐 일이 더욱 더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