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CJ헬로 알뜰폰' 결합, 서비스 다양성 양산…'마중물' 역할 톡톡"국민은행 '알뜰폰+금융' 시너지 모색…호스트 사업자 역할론 대두"정부, 공정위 기업결합 심화 완화 및 합산 점유율 상한 50%→60%로 늘려야"
  • ▲ 김용희 숭실대 교수ⓒ이종현 기자
    ▲ 김용희 숭실대 교수ⓒ이종현 기자

    "알뜰폰이 이통시장에서 다양성과 경쟁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한 시장 재편이 선결되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부문 인수는 시장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할 것으로 확신한다."

    김용희 숭실대 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알뜰폰 성장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국내에서는 이통사가 알뜰폰 요금제의 가격과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알뜰폰 만의 차별화된 상품을 만들기 어렵다"며 "요금 및 상품의 독자 결정권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망 도매대가 인하 등 미비한 지원책만 시행, 경쟁력 없는 사업자들의 퇴출 역시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보편요금제 도입 압박에 따른 이통사들의 요금제 개편, 선택약정할인 25% 등이 시행되면서 알뜰폰의 매리트 역시 사라져가고 있다"며 "알뜰폰이 향후 5G 서비스를 시작하게되면 5G 망 도매대가 인상 등 여러 제반 인프라 비용이 증가해 관련 시장은 그야말로 사면초가에 놓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대기업 중심의 '호스트 알뜰폰 사업자'가 나올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LG유플러스와 CJ헬로의 알뜰폰 결합은 '시장의 메기'를 출현시키는 것으로 5G 투자에서 규모 및 범위의 경제 확보를 가능케 하는 한편, CJ헬로의 특화 영역인 지역 활성화 영역에서도 사업적 시너지를 갖출 것으로 본다"며 "특히 가격 경쟁이나 프로모션 경쟁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 형태를 양산해 서비스 경쟁으로의 전환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SK텔레콤과 KT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분리 인수를 주장하는 점은 심히 우려스럽다"며 "양사는 독행기업이 사라져 혁신과 시장경쟁을 저해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데, CJ헬로가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점유율의 1.2%에 불과하다. 독행기업으로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독행기업이란 시장 내에서 혁신을 일으켜 경쟁을 촉진하는 기업이다. 이통3사의 경쟁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기업을 뜻한다.

    김 교수는 "독행기업의 역할을 하려면 시장점유율이 급격히 증가했거나 장기간 일정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헬로모바일은 매출액 증가율 추이나 점유율 등 시장에서 독행기업의 지위를 갖고 있지 못하다"며 "2013년 약 24%에 달하던 가입자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현재는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김용희 숭실대 교수ⓒ이종현 기자
    ▲ 김용희 숭실대 교수ⓒ이종현 기자

    김 교수는 일본의 제 4이통사이자 알뜰폰 사업자인 라쿠텐 사례를 들며, 국내 호스트 사업자들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그는 "라쿠텐은 인터넷 쇼핑몰을 시작으로 증권, 카드, 은행 등 금융업체 등을 지속적으로 인수했고 이를 모두 슈퍼 포인트라는 결제 포인트로 연계했다"며 "라쿠텐이 운영하는 쇼핑몰에서 결제하고 이후 발생하는 포인트로 알뜰폰 요금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국민은행이 알뜰폰 시장에 진출하며 모바일과 금융을 융합한 서비스 출시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예컨대, 자동차 기업이 알뜰폰 시장에 진출, 차 한대를 사면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등 대기업 중심으로 관련 시장에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의 역할론 역시 강조했다.

    김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급격한 환경변화를 야기할 것이고 정부의 알뜰폰 진흥 정책의 변화가 요구된다"며 "5G 시대 개인영업(B2C)에서 기업영업(B2B) 영역으로의 본격적 확대를 위해 알뜰폰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정부가 시장 재편을 위한 알뜰폰의 M&A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화를 완화한다거나, 이통3사의 알뜰폰 자회사 합산 점유율 상한인 50%를 60%로 늘리는 방안 역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정부의 지나치고 강압적인 시장 구조조정을 경계했다.

    일각에선 가입자 이탈이 가속화 되는 상황 속 정부가 40여개의 달하는 알뜰폰 업체들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김 교수는 "정부가 강압적인 방법으로 알뜰폰 사업자들에 대한 매각에 나선다면, 건실한 알뜰폰 사업의 가치를 급전직하 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현재 추진 중인 인수·합병에 대해서도 세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알뜰폰 사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협의와 지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