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47대 대선 D-46…트럼프 vs 해리스 지지율 초접전 초박빙 속 대선 후보 관련 수혜주 움직임 영속성 떨어져韓 시장도 뚜렷한 방향성 잃어…테마성 종목 접근 유의 필요
  • ▲ 미국 대통령선거 후보 TV토론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좌)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AFP=연합뉴스. ⓒ연합뉴스
    ▲ 미국 대통령선거 후보 TV토론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좌)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AFP=연합뉴스. ⓒ연합뉴스
    오는 11월 5일 열리는 미국 제47대 대통령 선거가 46일가량 남은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관련주가 국내 시장에서 요동치고 있다.

    특히 최근 두 후보의 지지율이 동률을 보이며 초접전을 벌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관련 수혜주들의 움직임도 영속성이 떨어지고 있어 투자에 대한 유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이 경합주들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서면서 전일 국내 시장에선 신재생에너지와 낙태 관련주 등 이른바 '해리스 수혜주'가 강세를 보였다.

    이날 신재생에너지주로 분류되는 대명에너지는 전일 전장 대비 6.35%(1000원) 상승한 1만6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또 다른 신재생에너지 관련 종목인 씨에스윈드(5.18%), SDN(2.54%), SK오션플랜트(5.22%) 등도 일제히 올랐다. 해리스 부통령이 친환경 정책을 강조하면서 수혜가 기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한 해리스 부통령이 낙태권을 지지하면서 당선 시 수혜가 기대되는 낙태 관련 종목도 상승했다. 

    전일 현대약품은 전장 대비 4.22%(200원) 오른 4935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대약품은 인공임신중절 의약품의 국내 도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명문제약(11.85%), 알리코제약(8.49%) 등 피임약 관련 종목도 급등했다.

    앞서 미국 퀴니피액대가 지난 12∼16일 경합주 3곳에서 실시해 18일(현지시각)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51%의 지지율을 얻어 트럼프 전 대통령(45%)을 오차범위를 넘는 격차로 따돌렸다.

    펜실베이니아주는 이번 대선 경합주 가운데 가장 많은 19명의 선거인단이 배정돼 있어 두 후보 모두 최우선 공략 대상으로 삼는 곳이다.

    통상 해리스 부통령 관련주로는 반도체·자동차·2차전지·신재생에너지 등이 꼽힌다. 반면 트럼프 우세 시에는 은행·인프라·방산·카지노·부동산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는다.

    해리스 부통령의 지지율이 오르기 전까지만 해도 국내 시장에선 트럼프 관련 종목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쏠리는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 현상이 발생했다.

    그러나 지난 10일(현지시각) 진행된 첫 미국 대선후보 텔레비전 토론회 직후 해리스 부통령이 우세했다는 시장의 평가가 나오면서 트럼프 트레이드 수혜 자산군으로 분류되는 가상자산 관련주들과 방산주 등은 하락했다.

    이상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금융시장은 해리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모습이었다"라며 "해리스 수혜 업종인 태양광, 풍력, 이차전지 등은 상승하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관련 업종인 비트코인, 방산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라고 분석했다.

    다만 증권가에선 두 후보 간 지지율이 초접전을 벌이고 있는 만큼 관련주 투자 시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 연구원은 "미국 대선의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았다"라며 "두 후보 간 당선 확률과 지지율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양 후보 모두 토론이 기존 이야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앞으로도 두 후보 간 지지율 초박빙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셈법은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트럼프 후보가 2차 토론에 응할 여지를 남긴 만큼, 앞으로 지지율을 판가름할 변수들이 다수 남아있다"라며 "결과를 섣불리 예측할 수 없는 만큼 테마성으로 움직이는 종목들에는 특히나 접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 또한 "추세 변화는 제한적일 것"이라며 "미국 대선 변수로 펀더멘털 대비 저평가된 산업·업종이 있다면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할 수는 있지만, 확대 해석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