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중증 구분해 환자 격리 가능한 병상 확보 ‘시급’ 김우주 교수 “1~2주 안에 끝나지 않아 과감한 조치해야” 한 시간 내 가능한 ‘진단키트’ 확보 선결과제… 일 평균 8000건 시행 역부족
-
정부가 코로나19(우한 폐렴)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올린 가운데 급증하는 확진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명확한 전달체계를 선제적으로 확립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시급히 중증도를 판단해 구분하지 않으면 국내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지난 23일 정부는 코로나19와 관련 위기 단계를 최고 수준으로 상향조정했다. 대구 사태를 계기로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시켰고 전방위적 대응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하지만 이 시점 건강보험 체계와 별도로 ‘코로나 19 전달체계’ 확립이 동시에 이뤄지지 않으면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확진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음압격리병상은 부족한 상태에 직면했고 추가로 늘린다고 해도 역부족이기 때문이다.실제로 음악격리병상 지역별 가동률(23일 기준)을 살펴보면 이미 대구, 강원, 충북, 경북은 100%가 다 찼다. 뒤를 이어 충남 85.7%, 서울 77.4%, 경남 75%, 광주 75%, 대전 62.5%, 경기 61.5%, 인천 37.5%, 제주 37.5%, 전북 25%, 울산 20%, 전남 0% 순으로 조사됐다.이러한 상황 속 전문가들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신속한 전달체계 확립 및 시행에 돌입해야 한다는 진단을 내렸다.◆ 1차 ‘거점의원’ 역할론 등 급부상기본적으로 국내 의료전달체계는 1차(의원), 2차(병원, 종합병원), 3차(상급종합) 병원으로 구분돼 운영된다. 여기서 감염병 대응을 위해 1차(거점의원), 2차(도립 및 시립병원), 3차(국립대병원)으로 변화가 요구된다는 것이다.24일 김우주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는 “보건소와 함께 코로나19 거점의원을 만들어 경증환자를 봐야 한다. 시군구 단체장 및 시군구 의사회를 중심으로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다. 신속한 검사와 환자 상태 구분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이는 정부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분석했다.또 2차 병원으로 도립의료원 및 시립병원은 감염병 전문병원의 역할을 수행하며 중등도의 환자를 담당하는 한편 3차 병원은 에크모(ECMO) 치료 등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수준의 공공병원, 국립대병원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즉, 늘어나는 확진자와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없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므로 경증환자와 중증환자를 구분해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김 교수는 “현 상황에서 1~2주 내 확산이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백신도 없는 데다가 인구밀도가 높은 국내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때문에 건강보험과 다른 트랙의 감염병 전달체계를 신속히 확립해 환자치료를 안정적으로 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두가 격리음상병실을 쓰는 것은 이제 호사가 됐다”고 언급했다.◆ ‘실시간PCR’ 업그레이드, 신속·정확·대규모 검사가 관건코로나19 전달체계 확립과 함께 동시에 준비돼야 하는 사항으로는 ‘RT-PCR(실시간유전자증폭검사)의 개선’이 꼽혔다.현재 전국에서 일 평균 8000건의 신속검사가 시행된다. 그러나 확산 속도에 비춰보면 더 많은 물량이 확보돼야 한다는 진단이다. 검사 결과까지 6시간 걸리는 부분도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김 교수는 “한 시간 이내에 검사결과가 나오는 진단키트가 나와야 한다. 그래야만 늘어나는 확진자를 걸러낼 수 있다. 신속한 검사를 기반으로 경증, 중중을 구분해 격리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결국 선별진료소의 역할은 제한적인 상황이 됐기 때문에 별도의 큰 공간에 야전병원을 만들어 대규모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이재갑 교수(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는 “지금은 확진자를 빨리 확인할 수 있는 체계가 유지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선별진료소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대규모로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 적극적으로 모색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