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단기적으로 손해율이 높아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보험 수요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현황 및 보험산업 영향' 보고서를 전날 발표했다.
보험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건강보험 수요 증가로 인한 보험료 수입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보험영업 및 기업의 인력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세미나를 통한 단체영업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전 세계적으로 2700명이 사망하고 인명 피해가 속출하면서 세계 기업의 지점 폐쇄 등으로 손해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들은 전염성 질병 관련 보험상품을 보유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 보험사가 전염성 질병 관련 보험상품을 판매했으나 판매율은 저조했다.
보험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생명보험 손해율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건강보험 수요 증가로 인한 보험료 수입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며, 손해보험에서는 장거리 차량 운행 감소와 의료기관 이용 감소로 차 보험과 건강보험 손해율의 일시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치료비 및 사망 보험금 지급으로 생보사에 단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치사율이 높지 않으면 손해율 상승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 규제위원회에 따르면 2003년 사스 유행 이후 중국 건강보험료 수입은 340억 위안을 기록해 전년 대비 70% 급증했고, 생명보험회사의 보험료 수입은 3011억 위안을 기록해 전년 대비 32% 증가한 바 있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전염성 질병은 기후위험, 사이버 기술 위험, 지정학적 위험과 더불어 주요 위험 중 하나이므로, 글로벌 기업과 보험산업의 적절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글로벌 보험중개회사는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수 있으므로, 각 기업은 사업 운영과 인력 보호를 위한 위기관리 계획을 검토하고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말했다.
보험회사 대응 방안으로는 미국 보험감독관협의회(NAIC)가 꼽은 사업 연속성 계획 수립, 투자 자산의 적절한 배분, 포트폴리오 다양화, 재보험 및 산업손실보증 등을 소개하며 전염성 질병 대비 및 위험 관리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다.